서울시의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 일환인 출퇴근 시간대 대중교통 무료 정책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오차범위 내 우세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22일 CBS 의뢰로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효과가 설사 작더라도 대책을 강구 안하는 것보다는 나으므로 잘한 정책으로 보인다’는 응답이 49.3%, ‘효과가 작고 예산 낭비를 초래했으므로 잘못한 정책으로 보인다’는 응답이 43.5%으로 긍정평가가 오차범위 내인 5.8% 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응답자에서는 ‘잘한 정책’이라는 평가가 48.9%, ’잘못한 정책’이라는 평가가 47.5%였고 경기·인천 응답자에서는 ‘잘한 정책’이 48.9%, ‘잘못한 정책’이 40.1%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응답자 전체로 보면 ‘잘한 정책’이 48.9%, ‘잘못한 정책’이 43.1%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오차범위 내 우세였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잘한 정책 63.9% vs 잘못한 정책 31.3%), 30대(58.4% vs 32.2%), 20대(55.3% vs 39.1%) 모두 긍정평가가 우세했지만 60대 이상(29.9% vs 60.7%)은 부정평가가 대다수였다. 50대(45.1% vs 잘못한 정책 48.3%)는 긍·부정 평가가 팽팽한 가운데 부정평가가 다소 우세했다.
직업별로는 사무직(잘한 정책 57.7% vs 잘못한 정책 36.2%)과 노동직(62.1% vs 34.5%) 등 직장인은 대부분이 ‘잘한 정책’이라고 평가했지만 가정주부(35.6% vs 54.0%)와 학생(36.5% vs 56.9%)에서는 ‘잘못한 정책’이라고 평가한 이가 다수였다. 자영업(잘한 정책 48.2% vs 잘못한 정책 50.3%)에서는 부정평가가 오차범위 내 우세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8,087명에게 접촉했으며 최종 501명이 응답을 완료해 6.2%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지동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