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충렬 전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의 진술이 번복됐다. 류 전 관리관은 검찰 조사에서 장인이 마련해줬다던 관봉 5000만원을 장석명 전 청와대 공직비서관이 준 돈이라고 진술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21일 류충렬 전 국무총리실 공직복부관리관을 소환 조사하는 과정에서 “장석명 전 청와대 공직비서관으로부터 관봉 5000만원을 받아 장진수 전 총리실 주무관에게 전달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봉은 한국조폐공사가 발행한 신권에 십자 형태의 띠를 두르고 비닐도 포장해 한국은행에 납품한 뭉칫돈을 일컫는다.
2011년 4월 류 전 관리관은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과 관련해 폭로를 고민하던 장진수 전 주무관에게 관봉 5000만원을 건넸다. 장 전 주무관이 관봉을 받았다고 폭로하자 류 전 관리관은 “형편이 어려웠던 장 전 주무관을 도와주기 위해 십시일반으로 직원들이 모아 준 것”이라고 해명했다가 검찰 조사에서 “(사망한) 장인이 마련해 준 돈”이라고 진술했었다.
장 전 주무관은 류 전 관리관에게 전해들은 내용을 토대로 돈의 출처를 장석명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준 것이라고 진술했지만 당시 장 전 비서관은 자신과 무관하다고 부인해 돈의 출처가 미궁에 빠진 채로 수사가 종결됐었다.
그러나 류 전 관리관이 이번 검찰 조사에서 기존 진술이 거짓이었으며 장 전 비서관을 지목했다. 앞서 구속된 김진모 전 민정2비서관 역시 국정원으로 받은 5000만원은 민간인 사찰 관련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썼다고 진술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결과적으로 국정원 자금이 민간인 불법사찰 관련자들의 ‘입막음용’으로 전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검찰은 김 전 비서관이 국정원에서 받은 돈을 장 전 비서관과 류 전 관리관을 거쳐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22일 장 전 비서관을 국정원 자금수수 등 관련사건 피의자로 소환 조사해 관봉의 출처와 류 전 관리관에게 전달을 지시한 인물에 대해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당시 김 전 비서관과 장 전 비서관의 직속상관은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권재진 전 법무부 장관이다. 때문에 권 전 장관의 소환도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권 전 장관이 소환될 경우 이 전 대통령에게 보고를 했는지 여부가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