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전 의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해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에 이어 수사가 이명박 정부 시절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사찰 부분으로 더 번질 것”이라고 했다.
정 전 의원은 19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좌파 세력 적결 명목으로 암묵적으로 행해진 민간인 사찰 관련자들이 줄줄이 검찰에 불려나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전 의원은 자신도 민간인 사찰 피해자라며 “당시 청와대에서 정두언과 가까운 자들은 씨를 말리겠다고 했다”고 털어놨다. 당시 청와대에 출입하던 국정원 직원이 자신의 뒤를 캤다고도 밝혔다. 그는 “내가 만난 사람들마다 세무조사를 당하거나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정원 특활비가 민간인 사찰에 연루된 관계자들의 변호사 비용으로 쓰였다는 얘기도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 특활비가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을 무마하는 쓰인 정황이 드러난 것과 관련해 국정원과 청와대 인사들이 검찰 조사에서 “지시를 받고 돈을 전달만 했을 뿐”이라고 진술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경향신문이 이날 보도했다.
정 의원은 또 김희중 전 청와대 제1 부속실장이 국정원 특활비 1억원을 이 전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 측에 전달했다고 진술한 데 대해 “검찰이 밝혀야겠지만 공적으로 사용했더라도 불법”이라면서도 민주당 의원들이 제기한 명품 쇼핑 의혹에 대해서는 “억측”이라고 일축했다.
아울러 그는 ‘키맨’으로 떠오른 김 전 실장에 대해 이 전 대통령을 15년간 수행한 움직이는 일정표라며 “이 전대통령 자신보다 자기를 더 잘 알 수 있다. 맑고 담백하고 깨끗한 인물”이라고 평했다.
정 전 의원은 김 전 실장과 2013년 스스로 목숨을 끊은 부인의 관계에 대해 “한번 어려워서 해어졌다가 재결합한 사이”라고 발혔다. 김 전 실장은 2012년 솔로몬저축은행으로부터 1억8000만원을 수뢰한 혐의로 1년 3개월의 징역형을 살았다. 이 과정에서 생활고가 심해져 부인이 우울증으로 목숨을 끊는 비극을 겪었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