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서재 성명’이 나온 지 하루 만에 문재인 대통령의 ‘분노’ 강경 발언이 나온 배경에 대해 “국가 혁신을 해나감에 있어 때로는 입장을 정확히 말씀드리는 게 혼란을 줄일 수 있는 길”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18일 “지금 이 정부는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라는 국민의 명령에 의해 탄생했고 그 명령을 시행하는 중”이라며 “문 대통령과 정부 입장이 나가는 파급력보다 해서는 안 될 말이 대한민국의 역사와 정의, 민주주의에 미칠 파급력이 훨씬 더 강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 전 대통령 발언은 국민 편가름을 심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사안들이 여러 건 있었음에도 정부는 책임감으로 인내해왔지만 금도를 넘어섰기 때문에 우리가 계속 인내하는 건 무책임한 것”이라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박수현 대변인이 발표한 입장문에서 측근들에 대한 검찰 수사를 정치보복으로 규정한 이 전 대통령의 성명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문 대통령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을 직접 거론하며 정치보복 운운한 데 대해 분노의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청와대가 정치보복을 위해 검찰을 움직이는 것처럼 이 전 대통령이 표현한 것은 사법질서에 대한 부정이며, 정치금도를 벗어나는 일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전날 이 전 대통령은 “검찰이 짜맞추기식 수사를 하고 있다. 나에게 직접 책임을 물으라”며 현 정부를 향해 날을 세웠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개인적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 죽음을 언급한 데 대한 불쾌감이 있었을 수 있지만 대통령의 발언은 그것을 넘어서는 더 큰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문 대통령의 분노는 (MB 성명이) 사법질서를 부정하고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문 대통령 발언이 국민통합을 중요시해온 것과 배치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MB가 말한 것을 듣는 것도 우리 국민”이라며 “국민통합은 무조건적 인내만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오히려 국민통합을 가장 빠르게 효율적으로 이뤄낼 수 있는 건 인내하면서도 때가 되면 할 말을 정확히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