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미세먼지 비상조치, 마땅히 해야 할 일… 연간 7번쯤 될 것”

입력 2018-01-17 11:09

박원순 서울시장이 출퇴근 버스와 지하철을 무료 운영하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에 대해 “정치적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시민의 생명과 안전이란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밝혔다. 남경필 경기지사가 ‘혈세 낭비’라고 비판하자 반박에 나선 것이다.

박 시장은 1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미세먼지로 시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취하고 있는 조치는 마땅히 정부 기관으로서 해야 할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걸 시비 거는 것은 이해가 사실 좀 안 된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함께 참여해야 하는 거 아니겠나”라고 했다.

박 시장은 “CNG(천연가스) 버스 전환도 서울은 100% 하고 있는데 경기도는 절반밖에 안 하고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도 제대로 안 하고 있다”며 “어제 경기도 미세먼지가 훨씬 심각했다. 그런데 아무것도 하지 말자는 거냐”고 남 지사를 비판했다. 그러면서 “경기도와 몇 번 실무 협의를 했는데 예산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경기도가 참여했다면 훨씬 효과가 높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실시하게 될 경우가 연간 7번 정도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1~3월 중국에서 미세먼지가 날아오는 경우도 많고 겨울철이라 난방도 많이 하고,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이 시기에 집중되고 있다”며 “1번에 50억원 정도 해서 1년에 300억원 내외의 예산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되고 예산 조치까지 다 해놨다”고 밝혔다.

이어 “이 돈이 어디 하늘에 날아가는 것인가. 50억원을 선택할 것이냐,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선택할 것이냐. 저는 마땅히 그에 대한 답을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중국에서 날아오는 비산먼지가 절반을 조금 넘고 국내 원인 중에서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25% 정도 된다”며 “비상저감조치를 실행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이 꼼짝 안 하는데 애쓴다고 해서 효과가 있겠느냐는 지적에는 “그렇다고 우리도 가만히 있자는 얘기냐. 이런 비상상황에서 필요한 것은 경기도나 인천시나 서울시나 끝없이 누구나 머리를 맞대고 함께 줄여나가기 위해 노력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도권 시민 상당수가 서울을 무대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경기도와 인천시의 동참 없이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다른 지자체의 동참을 촉구했다.

교통량이 1.9% 줄어든 데 대해서도 “처음 치고 반드시 나쁜 숫자는 아니라고 본다. 경기도의 차량이 사실 서울로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경기도가 전반적으로 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