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이 한 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정부가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을 구성하는 건 한국 대표선수들의 인권을 침해한 것이라는 진정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접수됐다.
인권위는 아이스하키 팬인 A씨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상대로 ‘남북단일팀 구성은 대표선수 23명의 행복추구권과 직업행사의 자유 등 인권을 침해하기 때문에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내용의 진정을 제기했다고 17일 밝혔다.
A씨는 진정서를 통해 “단일팀이 성사되면 한국 선수의 출전 기회를 빼앗거나 출전 시간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진다”며 “(단일팀 구성은) 소수의 인권을 희생해 대의를 이루겠다는 전체주의적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A씨는 또 “한국 여자 아이스하키는 이번 대회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하지만, 4년 뒤 열릴 동계올림픽은 객관적인 전력상 출전 가능성이 매우 낮다”면서 “이번 올림픽이 마지막 올림픽 출전 기회가 될지도 모르는 23명의 대표선수들에게서 정부는 그 귀중한 기회를 빼앗으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9일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을 북한에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엔트리를 확대해 북한 선수들을 증원하면 기존의 한국 선수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 판단이다.
그러나 인권위 진정 뿐만 아니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구성을 반대하는 청원글이 다수 올라와 있다. 출전 가능 선수가 22명으로 제한돼 있는 만큼 한국 대표팀에 피해를 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한국은 오는 20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리는 IOC 주재 ‘남북한 올림픽 참가 회의’에서 북한 선수단 규모와 명칭, 남북 단일팀 구성, 국기와 국가, 유니폼, 숙소 등을 논의한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