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북한을 방문하고 싶어 하는 자국민들에게 사전 유언장 작성 등을 주문하는 경고문을 공고한 것으로 15일(현지시간) 확인됐다.
폭스뉴스는 이날 “미 국무부는 지난주 위험한 독재 국가로 여행을 가려는 사람들에게 돌아오지 못할 가능성에 대해 준비를 해야 한다는 살벌한 경고문을 고지했다”며 “유서 작성과 장례식 준비 및 재산 처리 문제 등 최악을 대비하라는 내용”이라고 보도했다.
미 국무부는 지난 10일 자국민의 해외여행과 관련해 국가별 위험수위를 알려주는 시스템을 가동하면서 홈페이지에 국가별 권고문을 올렸다. 국무부는 북한 등 11개국을 지난해 9월 4단계 여행 금지국가로 분류했다. 국익과 관련 있거나 취재, 인도적 지원 목적 등 제한된 경우에만 국무부의 별도 허가 절차를 통과하면 북한을 방문할 수 있도록 했다.
국무부는 공고문에서 “체포 위험과 장기간 구금 우려에 대한 심각한 위험이 있는 만큼 북한 여행은 하지 말라”고 권고했다. 이어 “미국 정부는 북한과 외교적 관계를 맺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북한에 머무는 미국 시민에게 비상상황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며 “북한 내 스웨덴 대사관이 미국의 이익대표국 역할을 하며 제한된 비상상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북한 정부는 억류된 미국 시민에 대한 스웨덴 관리들의 접근을 지연시키거나 거부하기 일쑤”라고 지적했다.
국무부의 특별허가를 받고 방북하는 경우에는 “유언장을 작성하라. 그리고 적절한 보험 수혜자 지정 및 위임장 작성을 하라. 자녀와 애완견 양육, 재산과 소장품, 미술품 등의 자산 처리, 장례식 계획 등을 가족과 친지, 친구들과 세워 놓아라”고 권고했다.
이어 “해외를 여행하는 미국인은 모두 위급상황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계획)이 있어야 한다”며 국무부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SNS 팔로잉을 권고했다.
국무부는 지난해 대학생 오토 웜비어가 북한에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풀려난 뒤 숨지자 북한에 대한 여행 금지 조처를 취했다.
지동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