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16일 MBC 라디오 ‘양지열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최근 불거지는 MB정권 당시의 여러 비리의혹에 관해 입을 열었다.
김 전 수석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시인한 특수활동비 상납 부분에 관한 질문에 “수사기관인 검찰이 확정되지 않은 혐의 내용이나 추측을 언론에 흘려서 보도 하는것”이라며 크게 반발했다. 이어 “특수활동비 역시 자료를 가지고 자체적으로 아니라는 걸 입증하기가 굉장히 어렵다”며 “당시 MB정부에서는 특수활동비를 받아 쓰는 분위기가 아니였다”고 강조했다.
또한 다스 소유주 논란과 관련해선 “이 전 대통령은 다스의 주식을 단 한 주도 갖고 있지 않는데, (이 전 대통령이 다스 실소유주라는 주장은) 우리 경제를 완벽하게 부인하는 우스꽝스러운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차명 주식 의혹에 대해서도 그 차명 소유의 여부를 밝혀내야지 덧씌우기를 하는 건 옳은 일이 아니다고 밝혔다.
김 전 수석은 ‘UAE 원전 이면계약’에 관해 “가장 할 말이 많은 사람이 이 전대통령이다”라고 주장했다. 원전을 유치하는 초기에서부터 모든 노력을 다해왔으며 그 내밀한 부분에 대해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이지만 자신한테도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며 이 전대통령이 “이를 악물고 말을 참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이 전 대통령은 지난 1일 현충원 참배 후 ‘UAE 논란’과 관련된 취재진 의질문에 “내가 얘기하지 않는 게 국가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언급을 회피한 바 있다.
앞서 검찰은 14일 국정원 특활비를 상납받은 혐의로 이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과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바 있다. 김 전 기획관은 이명박 정부 시절 김성호·원세훈 전 국정원장으로부터 각각 2억원씩 모두 4억원을 수수한 혐의며, 김 전 비서관은 국정원장으로부터 5000만원을 수수한 혐의다. 이 전 대통령 측은 15일 긴급 대책 회의를 갖고 3시간이 넘는 긴 대화를 나눴는데 김효재 전 수석 역시 이 자리에 참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송태화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