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에서 가상화폐 매매하는 건 블록체인과 무관
거래소는 매매에 쓰이는
개인의 가상화폐를 보관
블록체인은 디지털 거래장부
보안성 높고 처리 절차 빨라
금융결제·송금·본인인증
간편하게 하는 데 활용 가능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5일 정부의 암호화폐(가상화폐) 규제는 과도한 투기 열기의 진정이 목표라고 밝혔다. 그는 투기 규제에 대해 “욕을 먹더라도 할 일은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블록체인이나 가상화폐 자체가 규제 대상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전날 “블록체인은 육성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가상화폐 거래소 및 블록체인업계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도대체 블록체인은 무엇이고, 가상화폐와 어떤 연관이 있을까.
-블록체인은 무엇인가.
“일종의 디지털 거래 장부다. 거래 당사자의 장부인 블록(block)들이 사슬(chain)처럼 얽힌 개념이다. 이 장부의 거래 내역을 모든 거래 당사자가 공유한다. 거래가 이뤄지면 전체 블록에 내역이 기록된다. 그래서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중앙 서버가 필요 없다. 모든 블록을 한번에 위·변조하는 건 불가능하다. 거래내역을 은행 등 금융회사나 정부 기관이 관리하는 것보다 보안성이 높고, 처리 절차도 빠르다.”
-블록체인은 실생활에 어떻게 쓰이나.
“금융 결제나 송금, 본인인증 등을 간편하게 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중앙 서버의 인증 없이도 거래가 가능해 각종 절차를 줄일 수 있다. 은행권이 블록체인 공통 플랫폼을 개발하면 평균 2∼3일 걸렸던 해외 송금을 실시간으로 할 수 있다. 미국 나스닥의 경우 장외시장에 블록체인을 활용해 주식거래 소요기간을 3일에서 10분으로 단축했다. 가상화폐 비트코인은 국내 상점 약 150곳에서 상품 결제가 가능하다.”
-가상화폐를 사용하지 않으면 블록체인 기술도 못 쓰나.
“블록체인 기반으로 개발된 게 가상화폐다. 블록체인은 공개형과 폐쇄형으로 나뉜다. 공개형은 비트코인처럼 모든 사람들이 서로 간에 거래할 수 있는 기술이다. 폐쇄형은 일부 금융기관의 본인인증 서비스만 묶거나, 일부 은행이 모여서 자체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공개형 가상화폐를 쓰지 않아도 폐쇄형 블록체인 개발에는 문제가 없다. 다만 블록체인업계는 기술 개발에 제약이 생긴다고 주장한다.”
-가상화폐 거래소 매매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과 연관 있나.
“현재 자신이 소유한 가상화폐를 거래소에서 매매하거나 현금화하는 건 블록체인과 직접 관련이 없다. 거래소는 매매에 쓰이는 개인의 가상화폐를 보관한다. 여기에도 블록체인 기술은 쓰이지 않는다. 한국금융연구원 이지언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거래소 시스템과 블록체인은 다른 개념’이라고 말했다. 금융 당국도 거래소를 통하지 않는 개인 간 거래가 블록체인의 본질에 가깝다는 입장이다. 다만 거래소 업계는 현재 상태를 과도기라고 본다. 향후 거래소에서의 매매도 블록체인을 통한 거래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블록체인협회 준비위원회 김진화 대표는 ‘거래소 폐쇄는 이런 기술 발전을 막는 것’이라고 했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중앙은행의 ‘법정 가상화폐’가 나올 수 있나.
“이론적으로는 기존 법정화폐에 블록체인을 활용한 새 가상화폐를 페그(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달러’의 가치에 고정한 가상화폐 ‘e-달러’가 등장할 수 있게 된다. 비트코인 등 기존 가상화폐가 지금 누리는 지위를 잃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거래소 업계는 새 법정 가상화폐가 출현해도 기존 가상화폐와 공존할 것이라고 내다본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