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에 따라 서울시가 15일 처음으로 ‘대중교통 요금 무료’ 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이 정책을 시행하지 않았다. 이유로 ‘혈세낭비’를 꼽았다.
15일 경기도는 보도자료를 통해 “경기도가 수도권 지역에 대중교통 무료운행을 연간 15일 실시한다고 가정했을 때 소요예산이 연 1000억원을 넘는다”며 “이 중 경기도는 267억원에 달하는 부담을 감수해야 하는데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정책에 혈세를 투입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출퇴근길 버스 승객이 20%만 증가해도 광역버스 입석률이 현재 9.6%에서 18.6%로 2배정도 늘어나 200여 대의 광역버스 증차가 필요한 상황인데도 지금까지 서울시는 단 1대의 증차도 동의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또 “수도권환승할인제는 1300만 경기도를 포함한 11개 기관이 유기적으로 얽혀있는데도 서울시가 아무런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대책을 발표했다”고 주장했다.
경기도는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정책’과는 다른 ‘경기도 차원의 미세먼지 해결 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도는 “2027년까지 119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4109대에 달하는 도내 경유버스를 모두 폐차하고 이를 친환경 전기버스로 대체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기택시 보급 확대를 위해 차고지내 충전인프라를 구축하고 차고지 인근의 일반 전기차 소유자들도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오픈플랫폼 형태의 공유충전시스템을 구축, 전기자동차를 늘려가겠다”면서 “올해부터 2년간 900억원 이상을 투입해 2005년식 이하 화물차 5만1000여 대의 조기 폐차와 매연저감장치 설치, LPG엔진 개조 등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안태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