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네이버 대표 “검색어 제외, 검증과 공개가 최선”

입력 2018-01-11 17:39
한성숙 네이버 대표 [사진=뉴시스]

‘김동성·정유라 마장마술’ 등 최근 불거진 네이버 검색어 삭제 논란과 관련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가 유일하게 외부기관에 의해 검색어 제외를 검증받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검색어 제외가 하나의 정답을 찾기 어려운 만큼 외부에 검증을 받고 이를 공개해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밝혔다.

한 대표는 11일 네이버 공식 블로그에 ‘검색어 노출 제외에 대해 말씁드립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한 대표는 “음란∙도박∙마약 등 불법정보이거나 인격체의 명예훼손 또는 사생활 침해를 일으키는 경우”를 예로 들며 일부 검색어에 대해 법령에 근거해 불가피하게 제한을 둬야 한다고 판시한 대법원 판결을 언급했다.

이어 “대법원 판단에도 불구하고, 검색어를 노출 제외하는 행위 그 자체와 검색어 하나하나가 모두 적절하게 제외 처리됐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검색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접근권’(알 권리)과 검색어 서비스로 인해 피해를 입는 사람의 ‘인격권’에는 상충되는 면이 있고 그 사이에서 정답이 되는 무게 중심점은 보는 관점마다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 대표는 네이버가 외부기관(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에 검색어 삭제에 대해 검증받는 사실과 이유를 강조했다. 그는 “네이버가 국내외 인터넷 서비스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독립된 외부기관(KISO)에 검색어 제외가 적절했는지 여부를 검증받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검색어 삭제가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문제인 만큼 네이버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은 제외 규정을 외부에 공개하고 이를 다시 외부기관을 통해 검증받으며 그 결과를 공개해 외부 목소리를 수렴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 대표는 이러한 공개 과정이 “사용자의 정보접근권과 피해자의 인격권 사이에서 우리 사회의 공감대를 찾아나가기 위한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강조하며 “제외 조치 하나하나에 대한 외부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겠다”고 덧붙였다.

지동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