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株, 정부 규제 강화 소식에 '급락'

입력 2018-01-11 14:48 수정 2018-01-11 14:51
가상화폐에 대한 정부의 규제 대책 발표와 검찰의 비트코인 범죄수익 추징·몰수 관련 대응방안 검토 소식이 알려진 10일 오후 서울 중구의 한 가상화폐 거래소 전광판에 표시된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18.01.10. 사진=뉴시스

정부가 11일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수사와 세무조사 등에 이어 거래소 폐쇄 방침까지 밝히면서 '비트코인 테마주'들이 하한가를 치는 등 일제히 곤두박질치고 있다.

이날 오후 1시56분 현재 코스닥 시장에서 옴니텔(057680)과 비덴트(121800)는 각각 30%, 29.96% 하락하며 하한가를 쳤다. 이들 업체는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중 거래량이 가장 많은 '빗썸'을 운영하는 비티씨코리아닷컴의 지분을 갖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 '에스코인'을 운영 중인 SCI평가정보(036120)도 전 거래일 대비 29.92% 떨어져 하한가다. 가상화폐 거래소 사업 진출을 선언한 버추얼텍(036620) 역시 하한가(-29.93%)다.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지분을 보유중인 대성창투(027830)와 에이티넘인베스트(021080), 우리기술투자(041190)도 각각 30%, 29.95%, 30% 떨어지며 일제히 하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또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링크'의 운영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통신장비업체 포스링크(056730) 주가도 26.84%나 하락한 상태다. 20억원을 출자해 가상화폐 거래소 '넥스코인'을 설립한 넥스지(081970) 주가도 26.79%나 빠지는 중이다.

폐기물 처리업체 한일진공(123840)과 광학기기 전문업체 디지탈옵틱(106520), 화학제품 제조업체 케이피엠테크(042040)도 각각 -23.4%, -14.18%, -4.61%의 하락률을 기록 중이다. 이들 업체는 컨소시엄 형태로 암호화폐 거래소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이밖에 SBI인베스트먼트(019550) -22.8%, 갤럭시아컴즈(094480) -3.24%, 매커스(093520) -7.53% 의 하락률을 기록 중이다.

박상기 법무부장관은 이날 오전 법무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한 거래를 금지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고, 거래소 폐쇄까지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화폐 테마주들은 정부가 거래소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 이날 개장 직후부터 급락세를 보이고 있었는데, 가상화폐 폐쇄까지 검토한다는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바닥으로 곤두박질친 상태다.

앞서 지난 9일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및 도박 개장 등의 혐의로 국내 3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 관계자들을 수사하고 있다. 도박과 유사한 '마진거래' 서비스를 회원들에게 제공한 혐의다.

또 전날에는 국세청이 빗썸 본사에 대한 현장조사에 착수하기도 했다. 검찰의 경우 비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를 이용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와 함께 비트코인 범죄수익의 추징·몰수를 위한 대응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해외에서도 암호화폐와 관련한 부정적 이슈들이 터져 나오고 있다.

'투자의 전설'로 불리며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인으로 꼽히는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은 10일(현지시간) 언론 인터뷰에서 "가상화폐에 대해 전반적으로 말하자면 나는 그들이 나쁜 결말에 이를 것이라는 점을 확신을 갖고 말할 수 있다"면서 "우리는 가상화폐는 전혀 갖고 있지 않으며 앞으로도 가상화폐를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암호화폐 비트코인 채굴을 전면 금지시키는 조처를 취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지난해 9월 가상화폐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가상화폐공개(ICO)를 불법으로 규정한 데 이어 관련 계좌 개설을 금지하고 자국 내 모든 가상화폐 거래소 운영을 중단시키는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