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 현장조사, 코인원 경찰조사… 정부 압박 가시화

입력 2018-01-11 00:59
뉴시스

국세청이 빗썸 등 국내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해 현장조사를 시작했다. 암호화폐를 직접 조사하겠다는 정부의 ‘전방위 압박’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세청은 10일 빗썸 본사에 직원을 급파해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빗썸과 함께 국내 3대 대형 화폐 거래소로 꼽히는 코인원도 현장조사를 받았다. 업계 관계자들은 국세청이 거래소 탈세 여부와 거래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예고없이 현장조사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코인원 관계자들은 전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및 도박 개장 등의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기도 했다. 도박과 유사한 ‘마진거래’ 서비스를 회원들에게 제공한 혐의다. 마진거래는 회원들이 시세를 예측해 공매수나 공매도를 선택하면 결과에 따라 돈을 잃거나 따는 방식이다. 경찰은 이 방식을 도박과 유사한 행위로 보고 있다.

정부는 그간 암호화폐 거래소 규제 수위를 점차 높여왔다. 초기에는 암호화폐 거래소와 연관된 시중은행을 압박하며 암호화폐 거래를 옥죄었다. 지난 8일에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직접 조사하겠다고 밝히며 고강도 규제를 예고했다.

당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은 최근 발생했던 거래소 해킹 사건 등에 대해 해킹사고·전산사고로 인한 거래중단 등이 일어나도록 돼 있는 것도 문제지만 과연 자작극이 아니냐는 의심이 들 정도로 현재 그 안에서 어떠한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조차 알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른바 위장사고의 가능성, 시세조종, 유사수신 이런 부분에 대해 가상통화업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철저하게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