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칼끝 이중근 회장 겨냥… 본격 수사 착수
국세청·공정위 고발건 병합
李 개인비리 의혹도 조사
부영, 초호화 변호인단 꾸려
적폐청산 매달려 온 검찰
재계 수사로 중심이동 관측
검찰이 9일 탈세와 횡령 등 의혹을 받고 있는 부영그룹에 대해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이며 본격 수사에 돌입했다. 수사 칼끝은 부영그룹 이중근 회장을 겨냥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부장검사 구상엽)는 이날 “조세포탈, 횡령 등 혐의 수사를 위해 부영주택 등 부영그룹 계열사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지난달 이 회장 등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내린 상태다.
부영에 대한 검찰 수사는 예고된 일이었다. 국세청은 2016년 4월 이 회장이 가족 명의 회사를 통해 수십억원대 세금을 탈루한 혐의를 포착해 검찰에 고발했다. 지난해 6월에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부영그룹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 자료를 내면서 이 회장 친척이 운영하는 계열사 7곳의 차명지분현황을 허위 신고한 사실을 적발, 검찰에 고발했다. 위장계열사를 통해 일감을 몰아준 혐의도 제기돼 있다. 부영 측은 채동욱 전 검찰총장과 강찬우 전 수원지검장 등 유력 변호인단을 꾸려 수사에 대비해 왔다. 2015년 12월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장을 끝으로 검찰을 떠난 오광수 변호사 등도 변호인단에 합류했다.
검찰의 움직임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됐다. 서울중앙지검은 지난해 8월 특수1부에 배당돼 있던 국세청 고발사건을 공정거래조세조사부에 재배당하면서 공정위 고발건과 병합 조사를 시작했다. 검찰은 고발 관련 수사를 진행하던 중 제기된 이 회장의 회사자금 유용 등 개인비리 의혹도 조사해 왔다. 부영그룹이 최근 몸집을 빠르게 키운 기반이었던 임대주택 사업 과정에서 불법을 저지른 정황도 파악해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국세청과 공정위 고발에 국한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수사 과정에서 횡령이나 서민 상대 임대주택 불법 분양 이슈 등에 대해서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도 지난해 10월 화성동탄2지구 부영아파트 부실시공 의혹 등과 관련해 이 회장과 부영주택 대표이사들을 업무방해 및 사기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문재인정부 들어 적폐청산 수사에 매달려 왔던 검찰이 이번 수사를 계기로 본격적인 재계 비리 수사로 무게중심을 옮기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재계순위 16위인 부영그룹이 건설업계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첫 번째 타깃이 됐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취임해 처음 고발한 대기업 총수기도 하다.
이 회장은 국정농단 사태로 구속 기소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에게 2016년 2월 최순실씨가 실소유한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내는 대신 세무조사를 무마시켜달라는 청탁을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