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9일 한·일 위안부합의 후속 처리방향을 발표한 것에 대해 “내용상 무효화 선언”이라고 하면서도 “모호한 후속조치”라며 아쉬움을 밝혔다.
이날 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합의의 파기나 재협상 요구 방침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는 모호한 후속조치로 위안부 피해 당사자들의 입장이 충족되지 않았고 일본의 자성에 기대야 한다는 점에서 무척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한·일 위안부 협상은 지난 적폐 정권이 국민의 동의도 없이 밀실에서 맺어진 것이며 피해자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한 노력 역시 존재하지 않는 기만적인 합의임이 밝혀졌다”며 “한·일 간의 발전적 관계의 재정립을 위해서라도 위안부 협상은 원점에서 재검토 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의 10억엔 출연금을 정부 예산으로 충당하고 화해치유재단의 향후 운영은 국민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해 후속 조치를 마련하겠다는 외교부 방침과 관련해서는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해서라도 정부에서는 위안부 피해자들이 요구한 ‘화해치유재단 해산’과 ‘10억엔 반환’ 등에 대한 구체적 사항이 포함되어 있는 조속한 후속조치를 실행할 것”을 촉구했다.
지동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