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과의 통합을 두고 사실상 분당 기로에 놓인 국민의당이 9일 열리는 남북 고위급회담을 두고도 엇갈린 목소리를 내놨다. 통합의 뇌관인 대북정책을 두고 국민의당에서 ‘한 지붕 두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통합 찬성파는 남북대화 제의에 응한 북한의 의도를 지적하며 정부에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다. 김중로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일각에서 북한이 도발을 멈추고 대화 국면에 나선 것을 두고 응원하는 등 착각하고 있다”며 “각자 국익에 따라 다른 꿈을 꾸고 있을 따름”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남북 대화는 오직 한반도 평화라는 최종 목표를 향한 북핵문제 해결의 첫걸음이어야 한다”며 “그동안 우리는 이런 당연한 원칙을 잊고 오직 대화에만 매몰돼 방향을 잃고 북한의 위장평화 공세 속에서 대화와 도발의 악순환만 반복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간 북한은 미국 본토 타격능력 과시라는 도발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 트럼프 정권 이후에도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과 핵실험을 끊임없이 이어갔다”며 “북한의 의도는 단 한 번도 변한 적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찬가지로 통합파인 이동섭 의원도 “북한이 올림픽 참가를 미끼삼아 한미동맹을 약화시키거나 핵 완성을 위한 시간벌기로 삼으려는 계략이 숨어 있는지 면밀하게 살펴야 한다”고 경고했다. 또 “정부당국은 마냥 싱글벙글하며 북한에 다 퍼줄 것 같은 태도를 취하지 말고 올림픽 참가와 안보 문제를 철저히 구분해 북한과의 대화에 신중히 임해줄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반면 통합 반대파는 남북대화에 초점을 두고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장정숙 의원은 “지금까지 보수정권이 보여준 강경일변도의 대북정책 기조로는 긴장완화와 교류협력 증진이 불가능하다”며 “큰 틀에서 남북 대화 분위기를 조성하고 비정치적·비군사적 평창동계올림픽을 비롯한 문화 교류가 재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올림픽) 참여가 성사되면 평화의 제전인 올림픽의 의의를 십분 살릴 수 있음은 물론 경색된 남북관계 복원 역시 기대할 수 있다”며 “북한 핵실험으로 요동치던 동북아 정세가 안정 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6·15공동선언과 10·4선언을 이어받아 한반도 교류와 협력을 추진한다는 국민의당 강령 역시 이런 흐름과 일치한다”며 통합파 측을 겨냥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도 했다.
지동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