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가 구글에 ‘매춘부’로 소개돼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8일 기준 구글 한국어 사이트에 위안부 피해자 고(故) 문옥주 할머니를 검색하면 문 할머니의 직업이 매춘부로 표기돼 있다. ‘매춘부’는 일본 극우 진영에서 위안부 피해자를 비하하며 위안부의 존재를 부정하기 위해 쓰는 말이다.
구글 인물 정보는 사람이 아닌 알고리즘(전산 논리체제)이 편집을 맡고 있다. 문 할머니 인물 정보가 왜 잘못 됐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통상 구글 알고리즘은 위키피디아(집단지성 백과사전)나 주요 뉴스 사이트 등을 토대로 인물정보를 정리한다.
이에 대해 구글 코리아 관계자는 “원인을 확인해보고 즉각 수정하겠다”며 “왜 이같은 일이 벌어졌는지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문 할머니는 16세 무렵 일본 헌병대에 강제 징용돼 중국 만주와 미얀마 등에서 위안부 생활을 했다. 해방 이후에는 눈을 감는 날까지 위안부 문제의 진상 규명을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특히 그는 미얀마에서 생활했던 소속 부대와 위안소 명칭 등을 정확하게 증언해 아사히 신문 등의 국외 언론에서도 위안부 피해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게 했다.
문 할머니는 1991년 고 김학순 할머니에 이어 국내에서 두번째로 확인된 위안부 피해자다. 그는 아시아태평양전쟁 한국인희생자 보상청구사건의 원고 등으로 활동하다 1996년 대구 동산병원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전형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