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포털사이트 네이버가 박근혜 탄핵 정국 당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검색어를 당사자 요청이나 자체 판단에 따라 일부 삭제한 사실이 밝혀졌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신용현 의원이 공개한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검증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2016년 10월부터 11월까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연관 검색어 1만5584건과 자동완성검색어 2만3217건을 삭제했다.
KISO 검증위는 보고서에 네이버가 삭제한 박근헤-최순실 게이트 관련 키워드 가운데 일부는 삭제가 적절치 않았다고 지적했다. 검증위는 대표적으로 ‘김동선 정유라 마장마술’이라는 연관검색어 삭제를 꼽았다.
‘김동선 정유라 마장마술’ 연관검색어는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셋째 아들 김동선씨의 요청에 따라 삭제됐다. 김동선씨는 2014년 아시안게임 승마 마장마술 단체전에 최순실의 딸 정유라와 팀을 이뤄 출전한 사실이 알려지자 네이버에 연관 검색어 삭제를 신청했다.
검증위는 “당시 정유라 등 국정농단 사건 주요 인물의 행적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관련 인물을 연관검색어에서 삭제한 것은 논란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검증위는 네이버가 ‘루머성 검색어’라고 단정 짓고 삭제한 관련 검색어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네이버는 ‘박근혜 7시간 시술’과 ‘세월호 공양설’ 등의 검색어를 ‘루머성 검색어’로 자체 판단하고 ‘기타’로 분류해 삭제했다.
이에 대해 검증위는 “삭제는 타당했지만 ‘기타’가 아니라 ‘명예훼손’으로 분류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검증위는 총평에서 “네이버가 쟁점이 되는 검색어에 대해 과거보다 더 쉽게 삭제 결정을 하고 있다는 것이 검증위원들의 전반적인 의견”이라고 밝혔다.
전형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