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철 추도회’ 이끈 文, 영화 ‘1987’ 관람… ‘블랙리스트’ 예술인과 간담회도

입력 2018-01-07 15:41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를 비롯한 관람객들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CGV에서 열린 6월 민주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 '1987'을 관람한 뒤 깊은 생각에 잠겨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인권변호사로서 고(故) 박종철군 국민추도회를 주도하다 경찰에 연행된 바 있던 문재인 대통령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다룬 영화 ‘1987’을 관람했다. 영화 관람 뒤에는 박근혜정부 시절 ‘문화계 블랙리스트’ 피해 문화·예술인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문 대통령은 7일 오전 서울 용산CGV에서 영화 ‘1987’을 관람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1987’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부터 6월 민주화항쟁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담았다.

1987년 인권변호사로 활동하던 문 대통령은 박종철군의 고향인 부산에서 국민추도회를 주도하다 경찰에 연행된 바 있다. 또 그해 5월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의 시발점이 된 ‘부산 국본’을 결성해 상임집행위원으로 활동하며 호헌철폐와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민주화 운동을 벌였다.

문 대통령은 이날 관람에 앞서 고 박종철 열사의 형 박종부씨, 고 이한열 열사의 모친인 배은심 여사를 환담했다. 또 ‘1987’을 맡은 장준환 감독과 출연 배우인 김윤석·하정우·강동원, 6월항쟁 당시 이한열 열사의 영정을 들었던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제작사 대표 및 시나리오 작가 등과 환담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윤영찬 국민소통수석도 함께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CGV에서 열린 6월 민주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 '1987'을 관람한 뒤 관객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극 중 이한열 열사를 연기한 배우 강동원 씨.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영화가 끝난 뒤 영화관에서 관객들에게 인사를 전했다. 그는 “많이 우셨지요”라는 물음으로 운을 뗀 뒤, “슬픈 가운데에서도 재미도 있고 감동적이었으며 메시지도 아주 좋았다”며 “저는 이 영화를 만드신 분들, 그리고 이 영화 속 주인공이거나 관련 있는 분들과 함께 영화를 봤는데 보는 내내 울면서 뭉클한 마음으로 봤다”고 소감을 밝혔다.

장 감독은 “그 시절을 살아주신 우리 선배님들 삼촌 고모들께 너무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2017년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 여러분이 이 영화의 주인공이시다. 여러분 감사하다”고 전했다. 고 이한열 열사를 연기한 강동원은 “이 영화를 준비하면서 참 ‘내가 지금 이렇게 잘 살고 있는 게 많은 빚을 지고 있구나’ 생각했다. 빚을 조금이라도 갚는다는 심정으로 참여했는데 아직도 마음이 많이 아프다. 앞으로도 열심히 좋은 영화 찍으면서 보답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후 박근혜정부 시절 ‘문화계 블랙리스트’ 피해 문화·예술인들과 오찬감단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소설가 서유미씨, 시인 신동옥씨, 연출가 윤시중씨, 공연기획자 정유란씨, 배우 김규리씨 등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영화관에서 영화를 본 것은 세 번째다. 민주화를 다룬 영화를 관람한 것은 두 번째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8월 13일 5·18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택시운전사’를, 10월 15일에는 부산국제영화제에 참석해 한국 사회의 여성문제를 다룬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를 관람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