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회담 대표단 확정… ‘급’ 논란 피하고, 관계개선 발판

입력 2018-01-07 14:13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논의하기 위해 오는 9일 열리는 남북 고위급회담의 대표단이 확정됐다. 남북 대표단은 서로 급을 맞춰 불필요한 논란을 피했다. 지난 1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 이후 촉발된 남북대화의 흐름이 순항할지 주목된다.

통일부는 7일 북한이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5명의 북측 고위급 회담 대표단 명단을 이날 오후 보내왔다고 밝혔다. 리 위원장 외에 전종수 조평통 부위원장, 원길우 체육성 부상, 황충성 조평통 부장, 리경식 민족올림픽조직위원회 위원이 대표단에 포함됐다. 통일부는 “고위급 남북당국회담 일정과 관련된 세부 사항들을 판문점 채널을 통해 계속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북측 대표단은 남측 대표단과 대체로 급을 맞춘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날 정부는 5명의 대표단 명단을 판문점 채널을 통해 북한에 전달했다. 남측 대표단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천해성 통일부 차관,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안문현 국무총리실 심의관, 김기홍 평창 동계올림픽 대회 및 동계패럴림픽 대회 조직위원회 기획사무차장이 포함됐다.

앞서 남측 대표단에 장·차관이 3명 포함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나왔다. 특히 통일부 장·차관이 대표단에 함께 들어간 것은 처음이다. 이는 한국 정부가 이번 고위급 회담을 올림픽뿐만 아니라 향후 남북 관계 전반에 관한 실무 협의로까지 연결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북한에 전달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측은 이례적인 제안에도 별다른 이견을 보이지 않으면서 관계개선 의지에 화답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오는 9일 열리는 고위급회담은 순조롭게 진행돼 합의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김 위원장이 “북남관계에서 사변적 성과를 내야 한다”고 밝혀 북측이 필요 이상으로 회담 상황을 격화시키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남한 측 역시 계속해서 남북 대화를 강조한 이상, 과거 정부에서 있었던 잡음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양측 모두 민감하게 여기는 현안이 돌발적으로 나올 경우 분위기가 엄해질 우려도 있다. 북측은 한·미연합훈련 중단과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재개, 5·24 조치 해제 등을 갑자기 언급하며 남측을 압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남한 측 역시 북핵 문제, 천안함 등을 제기할 수도 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