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과 바른정당 통합당의 지지율이 자유한국당을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은 지난 2~4일 전국 성인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에서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당 지지율이 17%로 집계됐고 5일 밝혔다. 이는 한국당 지지율(9%)보다 8%포인트 높은 수치이며,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지지율은 각각 44%, 6%였다. 다만 ‘없음·의견 유보’ 응답자도 25%나 돼 부동층 흡수 여부가 통합당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지지층 가운데 통합당을 지지하겠다는 응답자는 각각 70%와 76%로 바른정당 지지층의 기대감이 약간 더 높았다. 민주당과 한국당 지지층의 통합당 지지 비율은 10% 안팎에 불과했다. 무당층 응답자 중에는 14%가 통합당 지지 의사를 밝혔다.
양당 통합에 대해선 ‘통합을 좋게 본다’(33%)는 긍정적 응답 비율보다 ‘통합을 좋지 않게 본다’(43%)는 부정적 의견이 더 많았다. 2014년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통합 당시 조사에서도 긍정·부정 비율은 각각 33%와 44%로 조사됐었다.
한국갤럽은 “(통합 과정에서) 누가 합류하거나 이탈하는지, 누가 전면에 나서는지 등 지지율 변동 요인이 많다”며 “중앙선관위에 정식 등록하는 시점에야 실제 지지율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민의당은 이날 북한의 고위급 회담 수락과 관련해 "회담 성사와 성과에 급급해 북한의 무리한 요구에 끌려다니는 회담은 철저하게 차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철근 국민의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끊어졌던 남북회담이 성사됐다고 해서 지나친 기대는 절대 금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과거 남북회담이 의제를 둘러싼 입장 차이로 무산됐던 경우도 많다"며 "북한의 무리한 의제 설정과 요구에 대해서는 단호한 원칙을 견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북한은 핵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 만큼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 제재와 압박이라는 국제공조 상황을 흔들리게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바른정당은 "이번 회담이 남북 간의 '쇼통 이벤트'로 끝나지 않고 북핵 폐기의 실질적 논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익환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남북 고위급 회담이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며 "남북 대화 분위기에도 미국과 국제사회는 대북 압박과 제제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대화 채널 복원이 압박과 제재의 도피처나 비상 탈출구가 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