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고의로 구형 아이폰의 성능을 저하시켰다는 의혹을 사실로 인정하고 배터리 교체 비용을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각국에서 대규모 집단소송 절차가 시작된 가운데 이미 미국에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부터 배터리 교체를 시작했다. 깜깜무소식이던 국내에서는 2일부터 신청접수를 시작했다. 그러나 그 어디에도 서비스 시작 시점을 공지하지 않아 뿔난 소비자들의 불만이 계속되고 있다.
애플은 지난달 20일 “오래된 배터리의 성능 저하 때문에 갑자기 아이폰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해 이를 막기 위한 조치로 아이폰 성능 제한을 했다”며 이른바 ‘배터리 게이트’를 시인했다. 이후 같은 달 28일 공식 사과와 함께 배터리 교체 비용 지원 사실을 알렸고, 30일 미국에서는 애초 예고보다 빨리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애플코리아는 배터리 교체 지원 가능 기종과 가격만 공지했을 뿐 정확한 날짜는 알리지 않았다.
소비자들의 불만이 계속되자 애플코리아는 2일부터 배터리 교체 비용 지원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미리 공지하지 않았다’는 비난 여론에 부딪히고 있다. 애플코리아는 언론을 통해 “애플 공인 AS 업체의 휴무가 끝나는 2일 오전부터 교체작업을 시작했다”고 알렸으나, 그 전까지 애플코리아 공식 홈페이지를 포함한 어디에도 ‘서비스를 2일부터 시작한다’는 공지는 없었다.
뿐만 아니라 애플의 고의적인 성능 저하로 인한 피해임에도 배터리 무상 교체가 아니라는 점도 소비자들의 화를 키우고 있다. 애플은 아이폰6 아이폰6플러스 아이폰6S 아이폰6S플러스 아이폰7 아이폰7플러스 아이폰SE 등 구형 아이폰 사용자에게 기존 10만원인 배터리 교체 비용을 3만4000원으로 할인 교체해 준다.
한편 애플을 상대로 소송이 제기됐거나 소송을 추진 중인 국가는 한국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호주다. 건수로는 15건이며 프랑스에서는 소비자 단체에 의해 형사소송이 제기됐다.
문지연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