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흡연해온 직장인 이모(33)씨는 매년 초마다 금연을 결심했지만 생각처럼 잘 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인터넷에서 금연치료제 ‘챔픽스’의 효과가 좋다는 정보를 보고 이번에는 약물치료 등 체계적인 금연계획을 짜기 위해 고민 중이다.
이씨처럼 최근 흡연자 사이에서 금연치료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챔픽스’는 입소문을 타고 한 해 수십만명이 복용 중이다. 이 약은 금단현상으로 우울증이 동반되거나 원래 우울증을 앓던 사람일 경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복약지도를 제대로 받지 않거나, 의사 처방을 받아야만 구매가 가능한 약품인데도 불법으로 인터넷상에서 거래되기도 한다.
바레니클린이라는 성분으로 구성된 챔픽스는 담배를 피우고 싶은 충동을 억누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5년부터 국가 금연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들에게 챔픽스 약값을 지원하고 있다. 2015년에는 22만여명이 처방 받았고 2016년 35만8000여명, 지난해는 40만여명이 이 약을 복용했다. 약국마다 차이가 있지만 1정당 최대 1800원에 판매되는데 건강보험이 적용되면 본인 부담금은 360원이다.
하지만 이 약은 지난 10여년간 우울증·자살충동 등의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면서 위험성 논란이 있었다. 제조사인 화이자 측에서 2016년 대규모 임상실험을 통해 챔픽스와 정신질환 간의 상관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평소 우울증이 있거나 금단현상을 잘 이겨내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 여전히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 일부 금연치료 환자들은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호소하며 건강보험공단에 상담을 신청하기도 한다. 정부가 발간하는 ‘금연치료 치료 참여자용 수첩’에도 챔픽스의 부작용으로 정서적 기분변화·자살충동 등이 명시돼 있다.
건강보험공단 측은 “부작용 논란이 있지만 현재 세계적으로 금연치료제는 챔픽스가 유일하기 때문에 국가 금연지원 사업에 사용하고 있다”며 “부프로피온 성분의 웰부트린 등도 있지만 우울증 치료제를 금연에 응용한 제품이라 챔픽스의 대체재는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약을 처방하는 의사는 환자가 신경정신적인 질환이 있는지, 초기 일주일간 가장 심해지는 금단현상을 우울감 없이 극복하고 있는지 지켜보고 복용방법을 지도해야 한다. 김대진 가톨릭대 의대 정신과학교실 교수는 “챔픽스가 정신질환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보고는 심각한 수준이 아니다”면서 “다만 원래 우울증을 앓던 사람은 증상이 심해질 수 있어 먼저 우울증 치료를 하고 나서 챔픽스를 처방하거나 부프로피온을 대신 처방하는 게 좋다”고 전했다.
문제는 의료기관에서 약에 대한 구체적 설명 없이 처방하는 경우다. 인터넷에서 불법으로 거래되는 것은 더욱 위험하다. 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현재까지 금연치료에 참여하는 의료진 2만5000여명이 금연치료제 처방법 교육을 받았고, 앞으로는 이를 더 확대해나갈 방침”이라며 “인터넷의 챔픽스 정보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예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