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에 한 걸음 다가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평창올림픽 참가를 시사한 김정은의 신년사에 대해선 통합의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국민의당은 “환영” 의사를 밝힌 반면 바른정당은 “저의가 의심스럽다”며 경계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1일 2018년 신년사에서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표단을 파견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조선중앙TV로 방송된 육성 연설을 통해 “남조선에서 머지않아 열리는 겨울철 올림픽은 민족의 위상을 과시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며 “대회가 성과적으로 개최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대표단 파견을 포함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다. 북남 당국이 시급히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민족적 대사들을 성대히 치르고 민족의 존엄과 기상을 내외에 떨치기 위해서라도 동결상태에 있는 북남관계를 개선하여 뜻 깊은 올해를 민족사의 특기할 사변적인 해로 빛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당은 이런 신년사에 대해 “북핵은 용납할 수 없다”면서도 “평창동계올림픽에 북한 대표단 파견 의사와 남북 당국 대화 의사를 시사한 점에 대해서는 환영한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행자 국민의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북한의 신년사는 우리 정부가 올림픽 기간에 한·미합동군사훈련을 연기하기로 한 데 대한 화답으로 보인다”며 “경색된 남북관계의 터닝포인트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북핵 위협에는 강한 목소리를 냈다. 이 대변인은 “김 위원장은 ‘핵단추가 항상 내 사무실 책상 위에 놓여 있고 이는 위협이 아닌 현실’이라고 말하면서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지를 드러냈다”며 “이는 어떤 이유에서도 용납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핵을 인정하고는 한반도 평화가 있을 수 없다”며 “평창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속에서도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대북제재가 멈춰서는 안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당이 ‘환영’에 더 무게를 둔 논평을 낸 것과 달리 바른정당은 “저의가 의심스럽다”며 경계의 목소리에 방점을 뒀다. 유의동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김정은은 신년사의 대부분을 미국의 압박 속에서 핵미사일 개발을 완성한 체제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데 할애했다. 오늘 대화 제시의 전제 역시 미국의 북진에 가담하지 말고 남북 간 대화를 하자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미동맹을 남남갈등으로 와해시키려는 의도마저 읽힌다. 이런 말에 정부가 부화뇌동해서는 안 된다”며 “머뭇거릴 시간도, 여유도 우리에게는 없다. 국제사회가 결의한 대로 북한에 대한 일관된 제재와 압박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촉구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