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마지막 날인 31일 자정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除夜)의 종’ 타종행사가 열린다. 이번 행사에 참여하는 시민대표는 총 11명으로 각자의 자리에서 2017년을 빛낸 인물들이 선정됐다.
이들 중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89)가 있다. 이 할머니는 영화 ‘아이 캔 스피크’의 실제 주인공으로 전 세계에 위안부 피해 실상을 알린 주인공이다.
세월호 참사 실종자 수색작업 후유증에 시달리다 세상을 떠난 고(故) 김관홍 잠수사의 부인 김혜연(39)씨, 지난 4월 낙성대역 묻지마 폭행으로부터 시민을 구해낸 의인 곽경배(41)씨, 폐지 줍는 노인들에게 편리한 손수레와 광고 수익을 전달한 박무진(26)씨도 타종자로 선정됐다.
최근 MBC 예능프로그램 ‘라디오스타’에 출연해 화제를 낳은 국내 1호 혼혈 모델 한현민(17)군도 타종에 나선다. 한 군은 한국인 어머니와 나이지리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인종 차별과 편견을 딛고 성공한 패션계 기대주다. 세계 상위 1% 연구자로 인정받은 늦깎이 여성 과학자 박은정(50)씨는 경력단절 여성과 비정규직 여성의 귀감이 되고 있어 의미 있는 인물이다.
1996년부터 세운상가에서 산업용 기기 수리업을 하는 나호선(60)씨는 20년이 넘는 시간동안 외길을 걸으며 자신의 기술을 청년들에게 전수하고 있다. 보신각 뒤에서 37년간 작은 식품가게를 운영하는 신종균(61)씨도 타종의 주인공이 됐다.
EBS 교양프로그램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를 통해 반려인들의 반성과 공감을 끌어낸 반려견 행동 전문가 강형욱(33)씨와 서울시 청소년 명예시장으로서 170만 서울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는 서은송(20)씨도 타종자로 뽑혔다.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개최를 응원하는 의미로 공식 마스코트인 수호랑 반다비도 타종에 나서게 됐다.
이들은 박원순 시장 등 매년 정례적으로 참여하는 고정인사 5인(서울시장·서울시의회의장·서울시교육감·서울경찰청장·종로구청장)과 함께 종을 33번 울린다.
행사에는 2017년을 보내고 2018년을 맞이하고자 하는 약 10만명 이상의 시민이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늦은 시각 귀가하는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고려해 지하철과 버스 막차 시간을 2시간 연장한다. 따라서 지하철은 익일 오전 2시까지 연장 운행(종착역 기준)하고 운행횟수도 총 162회 늘린다. 단 경기·인천행 막차는 자정 전에 떠난다.
또 행사로 인해 31일 오후 11시부터 익일 오전 1시30분까지 종로·우정국로·청계천로 등 보신각 주변 도로에 차량 진입이 통제된다. 이 구간을 지나는 버스도 우회 운행할 예정이다.
문지연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