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의 승부수 결국 통했다… 당원투표 ‘통합 찬성’ 74%

입력 2017-12-31 10:13

국민의당 전(全)당원투표에서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압도적 찬성 의견이 나왔다. 안철수 대표가 재신임과 연계해 던진 승부수는 결국 그의 뜻대로 됐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 절차는 이제 속전속결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통합 반대파의 반발 수위와 향후 행보에 따라 ‘분당’ 수준의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31일 오전 발표된 국민의당 당원투표 결과에서 유효투표는 5만9991표였다. 당원들은 4만4706표의 찬성표를 던져 통합을 추진하는 안 대표를 재신임했다. 74%의 압도적 찬성률을 보였다. 반대는 1만5205표(25.4%)였다.

국민의당은 지난 27∼28일 케이보팅(K-voting) 시스템을 활용해 온라인 투표를 벌였고, 29∼30일 ARS 전화투표를 실시했다. 최종 투표율은 23%로 집계됐다. 안철수 대표가 선출된 지난 8·27 전당대회 투표율(24.26%)에 근접한 수치다. 통합 반대파의 투표거부운동은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논란의 소지는 남아 있다. 통합 반대파는 투표율이 당원 수의 3분의 1(33.3%)을 넘겨야 유효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통합 찬성파는 이런 기준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투표 결과 발표장에선 재신임 확정이 선언되자 일부 인사들이 발표를 가로막으려 해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안 대표는 당원투표 결과를 명분으로 바른정당과의 통합 작업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통합 전당대회를 치를 방침이다. 안 대표 측 관계자는 "이번 투표로 통합 추동력은 물론 통합 반대파를 설득할 명분도 생겼다"라고 말했다. 안 대표 측은 특히 호남 지역 투표 결과를 자세히 분석해 바른정당과의 통합이 지역 민심에 반한다고 주장하는 호남 의원들을 설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합 반대파는 합당의 최종 관문인 전당대회 개최를 저지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는 한편, 안 대표 측이 전당대회를 전자투표로 대체해 치를 가능성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도 부심할 것으로 보인다.


바른정당은 이제 본격적인 당 대 당 통합 작업에 착수할 태세다. 이미 수차례 의원총회에서 국민의당과의 통합에 만장일치 합의를 본 터여서 금명간 공개적으로 통합 구상을 밝히며 보조를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각지의 원외위원장들 역시 대다수가 통합에 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철수 대표가 지난주 바른정당 원외위원장 모임에 참석해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바른정당의 최종적인 통합 결정권은 ‘당원대표자회의'가 갖고 있다. 당 대표도 이 기구를 통해 선출했다. 하지만 통합 여론이 워낙 높아 만장일치 박수로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 바른정당은 ‘2+2 교섭창구'를 통해 진행돼온 통합 논의를 더욱 정교하게 가다듬을 공식 기구를 만들자고 국민의당에 제안할 계획이다. 이 기구에서 양당 의원과 핵심 당직자들이 참여해 합당 절차를 조율하자는 것이다. 통합정당의 당명, 지도체제, 조직 구성 등을 정리하려면 2~3주는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바른정당에서도 의원 가운데 일부 이탈자가 나올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