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영 전 다스 경리팀장이 28일 검찰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12시간에 걸친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자동차 부품 업체 다스(DAS)의 비자금 의혹을 수사하는 '다스 횡령 의혹 관련 고발 사건 수사팀'(팀장 문찬석 서울동부지검 차장검사)은 이날 오전 10시께부터 오후 9시34분께까지 채 전 팀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채 전 팀장은 청사를 나서면서 취재진과 만나 "조사에서 비자금 관련 질문과 (다스) 실소유주 관련 질문을 받았다"며 "검찰이 다스 전현직 관계자를 소환할 예정으로 안다"고 말했다.
채 전 팀장은 앞서 서울동부지검에 출석하면서 '다스가 이명박 전 대통령 소유가 확실하다'는 자신의 인터뷰 내용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언론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제가 (이명박) 당선인 신분 때 찾아뵌 적이 있다"며 "당시 당선인 신분자가 한 말이 있다. 실제 소유주가 아니면 그런 얘기 못한다. 다른 내용도 있지만 검찰에서 말하겠다"고 밝혔다.
채 전 팀장은 2001년 1월10일부터 2008년 4월30일까지 다스에서 근무했다. 그는 다스 비자금 의혹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핵심 인물로 알려졌다. 채 전 팀장은 지난 26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다스 실소유주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고 생각하고 120억원 횡령에 대해서도 경리 여직원의 단독 횡령으로는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채 전 팀장은 "일개 여직원이 매년 10억원에서 15억원 정도를 빼돌릴 수 있을만한 회사가 아니다"라며 "은행의 자금을 인출하려면 법인도장을 찍어야 되는데 도장은 당시 김성호 사장만이 가지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이날 참여연대 관계자들도 고발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동부지검 내 다스 수사팀이 발족된 후 첫 고발인 조사였다. 참여연대 안진걸 사무처장과 김경률 집행위원장 등 3명은 이날 9시40분에 출석해 약 7시간 가량 후인 오후 4시40분께 조사를 마치고 귀가했다.
이들은 "120억원의 비자금이 환수되는 과정에 대해 입증할 자료를 준비해왔다"며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해 확보한 2007년, 2008년의 다스 회계장부 등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비자금과 실소유주의 연관성 등에 대해 최선을 다해 답변했다"며 "공소시효에 대한 추가 의견서를 제출했는데 (검찰에서도) 납득하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이어 "여러 정황 뿐 아니라 과거 신문 기사들 등 추가적으로 제출할 수 있는 자료가 아직 남아있다"며 "유력한 증거를 몇 가지 준비해 다음주 중으로 추가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지난 7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다스가 수입 원자재 가격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명박 전 대통령의 'BBK' 의혹 등을 수사했던 정호영 전 특별검사, 성명 불상의 다스 실소유주, 이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은 다스 대표이사 등을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29일 다스 전 총무차장 김모씨를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김 전 차장은 지난 1994년에 다스에 입사해 15년간 총무와 의전, 인사 등을 담당해온 실무자다. 그는 "다스의 실소유주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고 주장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