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출범한 화해·치유재단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시로 졸속 추진된 것으로 밝혀졌다.
여성가족부는 화해·치유재단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기념사업 점검·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해 1월 6일 “조용하고 신속하게 (화해·치유재단) 설립을 추진하라”는 지시사항을 여가부에 전달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단체 등의 반대 속에 한·일 양국이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을 설립하기로 합의한 지 열흘 만의 일이다. 여가부는 규정을 어기고 국고를 재단 운영비로 지원했다. 재단과 외교부, 여가부 등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개인별로 최대 7차례 만나 한·일 합의의 의미 등을 설명하며 현금 수령을 집요하게 설득했다. 일부는 건강 문제 등으로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웠는데도 현금 수령에 동의한 것으로 추정됐다.
박 전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사업도 중단시켰다. 여가부는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을 통해 기록유산 등재를 지원하고 있었는데 지난해 1월 6일 ‘등재 지원 사업에 진흥원은 관여 말고 정부색을 없애도록 하라’는 박 전 대통령 지시를 받고 지원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