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27일 한국 외교부의 ‘한·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가 발표한 내용과 관련해 기존의 재협상 불가 방침을 고수했다.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정례 브리핑에서 “2015년 합의는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해결에 대해 한·일 양국 간에 확인한 것으로, 국제사회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며 “그 합의가 착실히 이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계속해서 한국에 대해 끈질기게 합의 이행을 요구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언론은 피해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았으며 밀실 교섭에 따른 이면합의가 있었다고 지적한 TF 검증 내용을 속보로 전했다. NHK방송은 “보고서 내용은 주로 박근혜정권의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으로 일본 정부의 자세에 대해서는 파고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고서는 위안부 피해자들과 여론의 이해를 구할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현지 언론은 특히 한국 정부의 향후 대응에 관심을 보이면서 한·일 관계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아사히신문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앞서 방일해 검증 결과가 정부 정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히는 등 한국 정부는 위안부 문제의 ‘연착륙’을 도모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하지만 보고서에서 위안부 합의를 ‘불균형’이라고 평가함으로써 한국 내 여론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요미우리신문은 “일본은 ‘재협상에 응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반복해서 한국에 전달한 만큼 문재인정부의 태도에 따라 양국 관계가 다시 곤란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와 함께 한국 정부가 내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 때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방한을 성사시키기 위해 곧바로 보고서와 관련된 입장을 밝히지 않을 것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내다봤다. 스가 장관은 TF 검증 결과가 아베 총리의 평창올림픽 방문에 영향을 주느냐는 질문에 “강 장관이 아베 총리를 면담했을 때 방한을 요청했고, 아베 총리는 국회 일정 등 여러 사정에 입각해 검토하겠다고 말했다”고만 답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