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실험장이 있는 함북 길주군 출신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방사능 피폭 여부를 검사한 결과 일부 탈북자에게서 피폭을 의심할 수 있는 정황이 발견됐다. 하지만 대상자가 적고, 변수가 많아 핵실험의 영향인지는 불확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일부는 27일 길주군 출신 탈북자 30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월 실시한 검사에서 1명이 피폭 가능성이 의심된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안정형 염색체 검사에서 총 4명이 최소검출한계 이상 값이 나왔다”며 “세포 1000개 중 7개 이상 염색체 이상이 발견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4명 가운데 2명은 유의미한 수치가 아니었다”며 “나머지 2명 중 1명은 장기간 흡연 경력이 있고 고령이어서 배제했지만 마지막 1명은 피폭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검사가 제한적으로 이뤄져 핵실험과의 연관성을 단정짓기는 어렵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핵실험과의 연관성을 조사하려면 토양이나 식수원 등 탈북자가 살았던 주변환경 정보가 필요한데 염색체 및 소변시료 등의 검사만으로는 원인을 밝혀내기 어렵다는 의미다. 핵실험과의 연관성이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염색체 이상이 발견되면서 해당 탈북자는 불안감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길주군 출신 탈북자들은 핵실험장 인근 주민들이 이른바 ‘귀신병’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고 여러 매체를 통해 증언한 바 있다. 임산부가 생식기가 없는 기형아를 낳거나 다수의 주민들이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에 걸려 사망했다는 것이다.
이번 검사는 한국원자력의학원에 의뢰해 실시됐으며 대상자 30명 가운데 남자가 4명, 여자가 26명이었다. 북한의 핵실험 시기에 따라 2006년 10월~2009년 4월(7명), 2009년 5월~2013년 1월(16명), 2013년 2월~2015년 12월(7명) 등으로 나눠 시행됐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