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대규모 그린벨트 해제 산업단지 조성 놓고 녹색연합 급제동 걸어

입력 2017-12-27 09:36

대규모 그린벨트 해제해 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는 인천시에 대해 환경단체가 그린벨트 관리계획 수립하라며 제동을 걸고 나섰다.

남촌일반산업단지, 인천도시첨단산업단지 부지는 그린벨트 해제물량의 40% 규모로 훼손된 그린벨트는 해제가 아닌, 훼손지 복원 등 관리방안 모색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 환경단체의 입장이다.





27일 인천녹색연합에 따르면 인천시는 지난 25일 남촌일반산업단지 계획(26만7000㎡)이 포함된 2018년도 산업단지 지정계획을 고시했다.

앞서 지난 20일 인천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는 도시첨단산업단지(23만3000㎡) 조성용지 확보를 위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 내용이 담긴 ‘도시관리계획(용도구역) 결정 변경안‘을 원안 가결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녹색연합은 성명을 통해 “남동구가 추진하는 남촌일반산업단지(26만7000㎡)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추진하는 도시첨단산업단지 계획부지(23만3000㎡)는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이라며 “두 산업단지의 규모는 총 50만㎡로 국토교통부가 2025년까지 인천지역에 할당한 그린벨트 해제물량 137만㎡의 약40%에 육박하는 규모”라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와 남동구는 대규모 그린벨트를 해제하면서까지 산업단지가 필요한지에 대한 책임있는 답변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녹색연합은 “그린벨트 전수조사를 통해 관리계획을 조속히 수립해야 한다”면서 “도시첨단산업단지와 남촌산업단지 계획지 바로 인근에는 남동국가산업단지(957만4000㎡)가 위치해 있어 두 개의 산업단지가 추진될 경우 남동구는 거대한 산업단지지역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미 인천에는 3곳의 경제자유구역, 7곳의 산업단지가 위치해있고, 계양구도 그린벨트를 해제해 서운산업단지(52만3035㎡)를 건설 중에 있어 논란이 확산될 전망이다.


녹색연합은 “남촌일반산업단지와 인천도시첨단산업단지 관계자들은 사업의 타당성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 내용은 공개되지 않고 인천시민들에게 경제적, 환경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며 “직접 영향권이라고 할 수 있는 1㎞ 반경에 주거지, 학교 등이 위치해 있는 만큼 지역주민들에게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인천발전연구원에서는 남동국가산업단지의 업종고도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며 “인천시는 개별산업단지에 대한 진단만이 아니라 인천지역 산업단지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을 통해 환경적인 문제 등 개선사항을 파악하고, 사양산업‧유망사업에 따라 산업단지를 개선하는 등 장기계획수립이 우선”이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녹색, 에코 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친환경산업단지라고 주장하지만, 그린벨트 해제를 전제로 한 사업보다는 그린벨트를 그린벨트답게 관리하고 훼손지를 복원하는 것이 우선”이라면서 “그린벨트를 해제해 개발하고 일부 지역을 녹지로 조성한다고 해서 친환경이라 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개발압력으로 그린벨트는 늘 해제위협에 처해있다. 특히 경인아라뱃길 주변지역 개발, 계양구에 추가 산업단지 건설을 위해 그린벨트를 해제해야 한다는 주장은 계속되고 있다. 그린벨트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을 막고 시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공간이다. 관리가 미흡하거나 훼손된 그린벨트를 해제할 것이 아니라 훼손지 복원 등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