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에서 건강은 중요한 노후 대책 중 하나로 꼽힌다. 노후에 수익 수단을 마련하는 경제적인 노후대책도 중요하지만 고령의 나이에도 신체적인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건강을 관리하는 것 역시 중요한 노후대책 중 하나이다. 하지만 우리 몸은 나이를 먹을수록 자연스럽게 기능이 떨어지며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는 퇴행성 관절염은 이 같은 변화에서 동반되는 퇴행성 질환이다.
신체의 관절은 기계와 같아서 그 사용량이 많을수록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 점차 마모 되고 이로 인해 무릎에 통증과 시린 느낌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질환을 퇴행성 관절염이라 한다.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다리가 O자형 혹은 X자형 다리로 변형될 수 있고, 다리를 완전히 뻗거나 완전히 구부리는 동작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해 비교적 증상이 경미할 경우는 소염진통제 복용이나 연골주사, 운동치료를 병행하는 비수술적 치료를 선행한다. 수술적 치료는 이러한 비수술적 치료에도 별다른 호전이 없고, 계속되는 통증 증상이 있을 때 시행할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의 수술적 치료방법은 내시경을 통해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되는 부분 등을 정리하고 다듬어 주며, 관절 안에 염증이나 연골 조각을 청소하는 내시경 수술이 있다. 하지만 퇴행성 변화가 심각한 경우, 즉 일상생활을 지속할 수 없을 정도라면 인공관절치환술을 시행하게 된다.
금천구에 위치한 서울바른세상병원 임홍철 원장은 “과거 인공관절을 인체에 삽입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낀 환자들이 수술을 꺼려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손상 정도에 따라 관절 전체를 교체하는 치환술뿐 아니라 손상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는 부분 치환술도 가능해져 절개부위가 줄어들고 보다 빠른 일상복귀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인공관절치환술은 손상된 관절부위의 뼈와 관절을 제거하고,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로, 재료와 디자인의 발전으로 과거에 비해 사용기한이 길어졌으며, 수술 후 환자들의 만족도 역시 높은 편이다.
많은 환자들이 수술 후 곧바로 통증이 사라지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수술 후 3개월부터 길게는 1년까지 서서히 줄어든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산책, 가벼운 운동 등이 가능하지만 격렬한 운동이나 노동, 장시간 쪼그려 앉아 일하는 일은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인공관절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는 수술 후 정기적으로 병원을 찾아 상태를 점검하는 등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서울바른세상병원 임홍철 원장은 인공관절 수술 국내 최고 권위자로서 2013년 국내 첫 멀티 채널 라이브 중계로 의학계 이목을 집중받아왔으며, 이후 꾸준한 국내외 연구 활동으로 2017-2018 세계 3대 인명 사전 ‘마르퀴즈후즈 후’에 등재되어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