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015년 12월 28일 한·일 정부 간 위안부 합의에 대해 “피해자와의 소통이 상당히 부족했던 합의였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한 향후 입장을 밝혔다.
강 장관은 26일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단 간담회에서 “위안부 TF(테스크포스)가 초점을 맞췄던 부분은 합의가 나오기까지 피해자와의 소통이 충분히 이뤄졌는가였다”면서 “내일(27일) 발표하겠지만 ‘상당히 부족했다’는 결론”이라고 말했다.
이어 “예상할 수 있었던 결론이지만, 이제 증거를 갖고 (향후 방침을) 이야기할 수 있는 상황이 되는 것”이라며 “국민 70%가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 합의, 피해자와 관련 단체들이 흡족해하지 못한 이 합의를 정부가 어떻게 갖고 갈 것인가에 대해 모든 옵션을 열어놓고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지원단체들은 2015년 합의 직후부터 ‘파기’를 요구해 왔다. 따라서 이 같은 목소리가 정부 입장을 정리하는 데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강 장관은 “TF 결과 보고서에 정부에 대한 정책적 건의는 담기지 않았다”며 “앞으로 정부가 취해야 할 방향은 TF 결과만으로는 성립이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TF 결과를 십분 수용하되 피해자와 지원단체 등과의 소통을 통해 (정부 방향을) 정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27일 위안부 TF 결과 보고서를 발표한다. 여기에는 2014~2015년 모두 12차례 열렸던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의 절차적 정당성, 합의에 ‘최종적·불가역적’이라는 표현과 소녀상 이전 문제가 포함된 배경 등에 대한 검증 결과를 담았다.
문지연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