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저균은?… 대량살상 생화학테러 악용 가능한 맹독균

입력 2017-12-24 17:47
청와대. 사진 = 뉴시스

청와대가 24일 ‘탄저균 백신 접종설’을 부인했다. 국내 임상실험이 이뤄지지 않아 접종 계획조차 없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생화학 무기에 악용될 수 있는 탄저균은 무엇일까.

탄저균은 포자에서 생성되는 독소가 체내 혈액의 면역세포에 손상을 입혀 쇼크를 유발한다. 감염되고 하루 안에 항생제를 충분히 복용하지 않으면 사망할 수 있다. 치사율은 80% 이상. 탄저균 100㎏을 대도시 상공 위로 살포하면 100~300만명을 살상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1메가톤의 수소폭탄과 맞먹는 살상력을 가졌다. 탄저균이 대량살상 무기로 악용될 수 있다는 얘기다.

청와대는 이날 박수현 대변인 명의 서면 브리핑을 통해 “2015년 미군기지 탄저균 배달 사고가 이슈화한 뒤로 탄저균 대비 필요성이 대두해 치료 목적으로 백신을 구입했다”며 “탄저 백신 도입이 박근혜 정부 당시인 2016년 초부터 추진됐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지난해부터 추진돼 2017년도 예산에 탄저 백신 도입 비용이 반영됐다. 7월에 식약처에 공문을 발송해 식약처가 주관하는 희귀의약품 도입회의에서 탄저 백신 수입이 승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달 2일 치료제로 사용 시 350명이 쓸 수 있는 양의 탄저 백신을 들여와 국군 모 병원에 보관 중”이라며 “이와는 별도로 질병관리본부가 생물테러 대응요원과 국민 치료 목적으로 1000명 분의 탄저 백신 도입을 완료해 이 또한 모처에서 보관 중”이라고 전했다.

한 인터넷매체는 ‘문재인 정부가 국민 몰래 탄저병 백신을 구입해 고위 관계자들만 백신 주사를 맞았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박 대변인은 “관련 내용을 기사화하는 과정에서 사실관계 확인에 극히 소극적이었고 반론조차 받지 않았다”며 “청와대 신뢰를 훼손한 매체를 상대로 강력한 법적 조처를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