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그 동안 지급을 보류해온 2017년도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분담금을 납부하기로 확정했다.
올해 세계기록유산 심사 기준을 개정해 한국 등이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록 등재를 사실상 막아 성과를 올렸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21일 요미우리신문에 의하면 일본 정부는 하루 전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 심사 제도가 일정 부분 개선됐다고 판단해, 올해 분담금 34억 8700만엔(약 331억 4000만원) 및 임의 출연금 4억 8100만엔을 지급하기로 했다.
사실상 유네스코의 최대 후원국인 일본은 통상 매년 4~5월께 유네스코 분담금을 지급해왔으나, 세계기록유산 심사 과정이 불투명하다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분담금 납부를 보류했다.
그러나 유네스코가 일본 측 요청을 받아들여 심사 과정을 개선하자 분담금 지급을 결정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가 지난 2015년 10월 중국이 신청한 ‘난징(南京) 대학살’ 자료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며 자국의 심기를 건드리자, 이후 “세계기록유산 심사 과정이 불투명하다”며 유네스코 측에 제도 개선을 요구해 왔다.
또 한중일 3개국 등의 시민단체가 지난해 위안부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하자, 일본은 이것이 유네스코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라며 반발허며 올해 분담금 지급을 보류하며 유네스코를 겁박했다.
유네스코 집행위원회는 이러한 일본의 요구를 받아들여 지난 10월 세계기록유산과 관련해 이견이 있을 경우 당사국간 대화를 촉구하고 의견이 모아질 때까지 심사를 보류하는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어 지난 10월 31일(현지시간 30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는 프랑스 파리에서 기록유산 등재 신청 심사를 진행한 결과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등재를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일본의 유네스코 돈줄 죄기가 사실상 통한 것이다.
앞서 일본은 지난 해에도 중국의 난징대학살 기록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데 반발해 분담금을 지급하지 않다가 연말에 38억엔(약369억원)을 낸 바 있다.
한편 일본은 지난 10월 미국이 유네스코 탈퇴를 선언하면서 유네스코의 최대 분담금 지급 국가가 됐다. 미국은 유네스코 연간 예산의 22%에 해당하는 8000만 달러를 해마다 내왔지만, 2011년 유네스코가 팔레스타인을 정식 회원으로 받아들인데 항의해 같은 해부터 분담금을 내지 않아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