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오전 광주광역시청 앞. 한 사람이 ‘광주쓰레기는 광주에서 처리돼야 한다’는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벌였다. 주인공은 강인규 전남 나주시장. 출근도 미룬 채 1시간 동안 시위를 하던 강 시장은 윤장현 광주시장과 면담을 했지만 입장차만 확인하고 걸음을 돌렸다.
광주시와 인접한 나주시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강 시장이 1인 시위에서 문제 삼은 쓰레기(SRF·고형폐기물연료)부터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발전기금, 나주농어촌버스, 한전공대 유치 등을 둘러싸고 사사건건 반목하고 있다. 두 지자체의 소모적 갈등은 광주·전남의 상생발전 분위기에도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 시장은 이날 “쓰레기는 발생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광주 폐기물을 왜 나주에 떠넘기느냐”고 했다. 나주 산포면 열병합발전소가 내년에 정상 가동되면 광주에서 발생한 쓰레기가 ‘고형폐기물연료’라는 이유로 대량 반입돼 대기오염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쓰레기 연료’로 불리는 SRF는 광주지역 생활쓰레기를 처리하는 남구 양과동에서 생산돼 나주 열병합발전소 가동 때 LNG(천연가스)와 함께 하루 310t정도 활용될 예정이다. 광주시는 “SRF는 민간사업자와 협의해 반입여부와 규모를 결정할 문제로 광주시는 법률적으로 제3자”라는 입장이다.
두 지자체는 최근 나주 농어촌버스의 광주시내 구간 경유지 확대와 노선 연장을 놓고 샅바싸움을 벌였다. 국토교통부가 조정에 나서 일단락됐지만 언제든 불씨는 되살아날 수 있다.
한전공대 유치를 둘러싼 힘겨루기도 여전하다. 광주시는 “거대 공기업 한전을 나주에 양보했으니 한전공대는 당연히 광주로 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반면 나주시는 “한전과 가까운 곳에 한전공대가 들어서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혁신도시 공동발전기금도 마찬가지다. 지난 2006년 광주시장과 전남지사, 나주시장이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성과공유 협약서’를 체결해 혁신도시 입주기관들의 지방세를 공동발전기금으로 조성하기로 했지만 수년째 겉돌고 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민선 6기 이후 현안 해결을 위해 전남도와 상생발전위원회를 가동하고 있다”며 “전국적 상생모델인 나주 공동혁신도시의 정신을 살리는 차원에서 나주시와 소통의 폭을 넓히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