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 뼈와 관절은 노화에 따라 조금씩 닳아 없어지는 퇴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변형되거나 손상을 입기 쉬워진다. 또한 퇴행성 변화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력도 떨어져 작은 충격에도 관절이 파열되거나 퇴축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심하게 손상되고 파열된 관절에 회복을 도와 정상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수술적 치료방법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방법이 새로운 인공관절을 대체하는 인공관절수술이다.
그렇다고 뼈와 뼈를 연결해 신체에 다양한 운동성을 관장하는 관절에 대한 수술을 쉽게 결정하긴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최소 침습적이고 보존적인 치료를 우선으로 살피고,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경우인지를 신중히 검토 해야 한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라면, 병원의 전문성 및 의료진의 경험과 숙련도를 꼼꼼히 따져 정확한 검진과 적절한 시술방법을 계획해 안전하게 시행해야 한다.
수술적 치료에 대표적 방법인 인공관절수술은 손상된 무릎, 어깨, 족부 등의 관절부위에 인체에 무해하고 튼튼한 인공관절을 대체하는 수술법이다. 수술하고자 하는 관절 부위 및 원리에 따라 고굴곡 인공관절, 여성형 인공관절, 부분인공관절치환술, 3세대 맞춤형 인공관절수술 등으로 다양하게 나뉠 수 있다.
인공관절수술은 닳아 없어진 연골 대신 인체에 해가 없는 코발트크롬, 티타늄합금 등의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만들어진 인공관절물을 골시멘트로 뼈에 부착하여 관절의 통증을 없애주고, 운동 범위를 확보하게 된다.
강북연세사랑병원 김용찬 원장은 “인공관절수술은 관절의 상태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과 건강상태 등을 꼼꼼히 따진 후 수술 시기를 정해야 한다. 또한 수술 이후에는 관절을 무리하게 구부리거나 행동은 피하고, 수술의 경과에 따라 재활을 위한 운동을 조금씩 해나가는 게 좋다”고 전한다.
이번 대한민국 100대 명의에 선정된 김 원장은 “인공관절은 기술에 발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길어졌지만, 관절 부위가 항상 움직이며 마찰을 움직이는 부위인 만큼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이상유무를 체크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