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정부 출범 때 물려받은 외교 공백을 메우고, 무너지거나 헝클어진 외교 관계를 복원하는 등 시급한 과제들을 어느정도 해결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취임 7개월 중 한달 가량 외국을 순방하며 7개국을 방문했다. 유엔총회와 G20(주요 20개국),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아세안+3 등 여러 다자회의에 참가했고, 정상회담만 총 40여회 가졌다”며 그간의 외교성과를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4강 외교’ 복원에 의미를 부여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주변 4국과의 관계를 정상적으로 복원하고, 신북방정책과 신남방정책을 통해 외교 지평을 유라시아와 아세안까지 넓혔다”며 “우리 정부의 국정목표인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실현하기 위한 협력토대를 내실있게 다진 것은 큰 수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여러 다자 정상회의에서 한반도 평화 원칙, 사람 중심 경제와 같은 실질적 대안을 제시하고 국제사회의 공감과 지지를 끌어냈다”고 자평했다.
중국 국빈방문 성과도 재차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중국 방문은 한·중 관계의 전면적 정상화를 위한 기틀을 확고히 했다”며 “시진핑 주석 등 중국 지도자들과 우의를 돈독히 하고, 중국 국민의 마음을 얻는 내실있는 성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또 “경제·무역 채널 전면 재가동을 포함해 정치·안보 등 모든 분야 교류협력을 정상적으로 추진해나가기로 합의했다”며 “시 주석과의 핫라인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통해 양국 관계는 외부 요인에 흔들리지 않는 견고하고 성숙한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도 국익과 국민을 우리 외교의 최고 가치로 삼아 실사구시의 실용외교를 펼쳐나가겠다”며 “우리의 안보와 평화를 이끌고 경제발전에 활력을 불어넣는 외교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해 국익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눈높이에서 외교 방향을 정하고, 국민 안전과 권익을 보호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