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4명이 사망한 사고와 관련, 이대목동병원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고 있다. 온라인 상에서는 “무서워서 치료받겠냐” “병원에서 병 얻겠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청와대 게시판에는 이대목동병원 폐쇄를 요구하는 청원까지 올라와 있는 상황이다.
아직까지 정확한 사망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신생아 4명 중 3명의 혈액에서 항생제 내성이 의심되는 ‘시트로박터 프룬디(Citrobacter freundi)균'이 검출됐다고 질병관리본부가 밝히면서 병원측의 관리부실에 따른 세균 감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의료기구 관련 균혈증의 원인균 중 하나이며 의료진 손을 통한 균 전파 사례가 보고됐다”고 했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의 이재갑 교수는 19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은 대장균 사촌쯤 되는데 보통 대장이나 대변 안에 발견될 수 있는 일반적 세균”이라며 “대변 안에 있으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패혈증을 일으키게 되면 상당히 위험한 균으로 돌변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입이나 코로 감염된 게 아니라 혈액에서 균이 검출됐다는 질문에 “혈액에서 나왔다는 건 패혈증이 됐다는 얘기”라며 “보통 패혈증은 국소감염이 심해져 그게 혈액까지 균이 침범하기 때문에 시차가 발생한다”며 “이번 경우엔 4명이 동시에 나빠졌고, 중환자실 내 같은 구역에 있었기 때문에 공통된 어떤 것에 의해 혈액 내로 균이 침범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신생아들이 수액을 맞는 과정에서 감염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 교수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수액 관련 패혈증이 발생해 사망한 사례가 꽤 보고된다”면서 “신생아들은 팔·다리에 혈관이 발달하지 않아 심장 근처에 가는 혈관을 잡아놓고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카테터(수액을 공급하기 위해 넣는 관)에서 감염이 많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이대목동병원에서는 간호사가 폐결핵 확진을 받고 수액에서 날벌레가 발견되는 등 관리부실 사례가 속출했다. 하지만 병원의 관리 감독은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안이한 대처가 대형 사고를 불렀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보건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이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던 간호사 A씨가 결핵 확진 판정을 받았다.
A씨는 정기건강검진을 받던중 결핵발병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따라 서울시와 양천구보건소는 당시 입원해 있던 신생아 166명과 직원 50명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해 영야 2명과 직원 5명에서 잠복결핵을 확인했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은 됐으나 아직 발병하지 않은 상태로, 하지만 감염후 1~2년내 5%, 평생에 걸쳐 5% 등 10%가 결핵환자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부모들을 불안케 했다.
이대목동병원에선 또 지난 9월 생후 5개월 영아에게 투여되는 수액에서 벌레가 발견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일어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조사에 착수해 제조과정에서 완제품 검사가 제대로 안된 사실을 밝혀냈지만 아기에게 수액을 맞히기전 제품을 제대로 살피지 않은 병원측도 과실을 피하기 힘들었다.
이 병원은 지난 2014년 6월 뒤바뀐 엑스레이(X-ray)로 환자 수백명을 진단한 사실이 밝혀져 공식사과하기도 했다.
문제의 환자들은 2013년 12월30일부터 2014년 4월24일까지 이비인후과, 소아과, 내과, 가정의학과 등 4개 진료과를 찾은 578명으로 이들의 코 X-선이 방사선사의 실수로 좌우가 바뀐채 전산시스템에 입력됐다. 주치의들은 좌우가 바뀐 X-선 영상으로 잘못된 처방을 내려 환자 123명은 멀쩡한 쪽에 치료를 받았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