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사망한 신생아 4명 중 3명의 혈액에서 항생제 내성이 의심되는 시트로박터 프룬디(Citrobacter freundi)균이 검출됐다고 질병관리본부(질본)가 밝히면서 병원 측의 관리부실에 따른 세균감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질본은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에 대해 “정상 성인에 존재하는 장내 세균이지만 드물게 면역저하자에서 병원감염의 원인균으로서 호흡기, 비뇨기, 혈액 등에 감염을 유발한다”며 “의료기구 관련 균혈증의 원인균 중 하나이며, 의료진의 손을 통한 균 전파 사례가 보고됐다”고 했다. 이 때문에 감염 전문가들은 중환자실에 있던 신생아 집단사망도 의료기구나 오염된 수액 등이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 감염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의 이재갑 교수는 19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은 대장균 사촌쯤 되는데 보통 대장이나 대변 안에 발견될 수 있는 일반적 세균”이라며 “대변 안에 있으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패혈증을 일으키게 되면 상당히 위험한 균으로 돌변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입이나 코로 감염된 게 아니라 혈액에서 균이 검출됐다는 질문에 “혈액에서 나왔다는 건 패혈증이 됐다는 얘기”라며 “보통 패혈증은 국소감염이 심해져 그게 혈액까지 균이 침범하기 때문에 시차가 발생한다”며 “이번 경우엔 4명이 동시에 나빠졌고, 중환자실 내 같은 구역에 있었기 때문에 공통된 어떤 것에 의해 혈액 내로 균이 침범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신생아들이 수액을 맞는 과정에서 감염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 교수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수액 관련 패혈증이 발생해 사망한 사례가 꽤 보고된다”면서 “신생아들은 팔·다리에 혈관이 발달하지 않아 심장 근처에 가는 혈관을 잡아놓고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카테터(수액을 공급하기 위해 넣는 관)에서 감염이 많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수액 오염 여부를 밝혀내려면 수액 제조에서부터 신생아에게 공급되기까지의 경로를 추적해 이상 여부를 면밀히 체크해야 한다. 이 교수는 “수액 치료를 받은 5명 중에 4명이 사망한 것은 역학적인 연관관계로 보더라도 수액 사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사망한 신생아 부검 소견에서 나온 복부 팽창 원인 규명도 시급한 문제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은 부검 1차 결과 발표에서 “신생아 4명 모두 소장·대장 등 복부 팽창 흔적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국과수는 가스 팽창의 원인에 대해서는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사망한 신생아 중 2명이 걸린 괴사성 장염 증상과의 관련성이 우선 제기되지만 패혈증이 복부팽창의 원인일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