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목동병원에서 사망한 신생아에게서 발견된 균이 주로 병원 내에서 환자나 의료진, 의료기구 등의 접촉으로 감염되는 균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균이 직접적인 사인인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병원 측의 감염관리 부실 가능성이 제기된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6일 서울 양천구 이대목동병원에서 숨진 신생아 4명 중 3명에게서 의료감염의 원인균 중 하나로 알려진 ‘시트로박터 프룬디(Citrobacter freundi)균’이 검출됐다고 18일 밝혔다. 시트로박터균은 의료기구 관련 원인균 중 하나로 알려진 균이다. 의료진의 손을 통한 균 전파로 의료관련감염 유행사례가 과거 몇 차례 보고되기도 했다.
질본은 신생아가 이 균에 감염된 경로를 조사 중이다. 신생아중환자실의 감염관리가 부실했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질본은 시트로박터균에 감염된 보균자가 신생아중환자실에 출입하면서 균을 퍼뜨렸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질본 관계자는 “현재 4명에게서 검출된 시트로박터균의 유전자분석이 진행 중”이라며 “유전자까지 완전히 동일한 균이라고 밝혀질 경우 신생아중환자실의 감염관리가 잘 이뤄졌는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균이 사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는지는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질본 측은 “사인 규명은 부검 결과와 대조해봐야 한다”면서 “시트로박터균은 항생제 내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다른 병원으로 옮긴 12명의 신생아도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어 해당 병원 측에 조치를 취해달라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앞서 질본은 역학조사를 실시하던 중 의무기록에서 신생아 3명이 생존 당시 혈액배양검사를 진행한 사실을 확인하고 검체를 관찰해 이날 결과를 발표했다. 병원 측은 신생아들이 사망 당일 산소포화도 저하, 심박수 증가 등 증세를 보여 혈액배양검사를 진행했다. 나머지 1명은 증세가 발견되지 않아 검사를 하지 않았다. 시트로박터균에 대한 유전자 분석 검사 결과는 19일 오후쯤 나올 예정이다.
최예슬 이택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