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임종석 비서시잘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방문과 관련한 조선일보의 ‘원전 불만 무마용’ 보도를 정면으로 부인했다. 청와대는 조선일보에 정정보도를 공식 요청했다.
청와대는 18일 “모 언론이 ‘임종석, UAE의 72조 원전 불만 무마하러 갔다’는 제목으로 보도한 기사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임종석 실장과 UAE 왕세제 접견 때 원전사업이 원활히 진행되고 있어 원전 사업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밝혔다.
청와대 권혁기 춘추관장은 “이 자리에 배석한 칼둔 칼리파 알 무바라크 UAE 원자력이사회 의장은 아부다비 행정청장 자격으로 배석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또 “UAE가 원전사업 관련 항의를 위해 방한 계획을 세웠다는 기사 내용도 근거 없는 주장”이라며 “해당 언론사에 정정보도를 요청한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이 기사에서 “임종석 실장이 최근 UAE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왕세제를 면담하는 자리에 한국이 수주한 바라카 원전 건설사업의 총책임자인 칼둔이 배석했다”고 보도했다. 이를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바라카 원전 건설과 관련해 UAE와 외교적 문제가 생기자 임 실장이 수습하기 위해 UAE를 방문했다는 의혹을 뒷받침하는 사진”이라고 전했다. 또 청와대는 임 실장의 UAE 방문과 관련해 무함마드 왕세제와 단 둘이 악수하는 사진만 공개하고 이날 접촉한 다른 UAE 인사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었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임 실장은 지난 10일(현지 시각) UAE 수도 아부다비의 대통령 집무실에서 왕세제와 면담했다. 임 실장은 면담에 배석한 칼둔 의장 등과 바라카 원전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칼둔 의장은 임 실장에게 ‘거액을 주고 바라카 원전 건설과 함께 완공 후 관리·운영권도 한국에 맡겼는데,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면서) 건설과 운영을 제대로 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임 실장은 문제가 없다는 취지로 답변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을 선언하고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에 들어가자 UAE는 외교 루트를 통해 항의의 뜻을 표명해온 것으로 전해졌다”면서 “‘당혹스럽다’ ‘어떻게 된 거냐’는 항의성 메시지를 아부다비 주재 한국 대사관 측에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칼둔 의장이 지난달 직접 한국을 방문해 항의하려고 일정을 잡았으나 한국 정부가 “우리가 UAE로 가겠다”며 사실상 방한(訪韓)을 막은 것으로 알려졌다고도 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