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방문 성과를 설명하며 “두 정상이 그동안 사드(THAAD) 문제로 서먹했던 것을 이번에 완전히 극복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문 대통령의 방중 성과를 사자성어로 압축하면 역지사지(易地思之·입장을 바꿔 생각함)와 관왕지래(觀往知來·과거를 돌아보면 미래를 볼 수 있음)”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6일 귀국길에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사드 문제에 대한 언급의 빈도와 강도 등이 현저히 낮아진 걸로 해석하고 있다. 우리 안보적 이익은 확실히 보호하면서 중국의 이해를 구했다는 점을 국민께 말씀드린다”며 “그러나 사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건 아니다. 양국 간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방중 성과를 ‘정상 간 신뢰구축’과 ‘한반도·동북아 평화·번영 계기 마련’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두 정상이 베를린(7월)과 다낭(10월)에서 만났고, 이번 세 번째 만남을 통해 훨씬 친숙해진 걸 저희가 목격했다. 두 분의 국민우선·국민중심이라는 국정철학이 같아 쉽게 교감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했다.
청와대는 양국 간 우호관계 복원의 사례로 독립유적지 보호 문제를 언급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독립유적지 보호문제를 시진핑 주석에게 부탁했고, 시 주석도 충칭 광복군사령부 복원을 약속했다”며 “한·중 양국이 공유하고 있는 역사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한반도·동북아 평화 문제에 대해서는 “북핵문제와 관련해 북한에 대한 제재·압박은 계속하면서도 제재·압박이 북한을 대화로 견인하고 위한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이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4대 원칙’이 지나치게 중국 측 의중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논란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4가지 원칙은 문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말한 5가지 한반도 정책과 똑같다”며 “한반도 평화를 정착하겠다,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확실히 견지하겠다, 남북 문제는 우리 스스로 주도적으로 해결해가겠다, 북핵문제는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북한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양국 간 전략적 소통을 여러 차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계속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4대 원칙 발표 이후 대북 압박을 강조하는 미국의 정책기조와 배치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혼밥’ 논란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도 했다. 이 관계자는 “과거의 예를 봐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공식 오찬이나 만찬이 한번밖에 없었던 적이 있었다”고 했다. 다른 고위관계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서 한번 같이 밥을 먹었고, 문 대통령이 워싱턴DC를 갔을 때도 같았다. 그렇게 ‘프레이밍’한 게 이해가 안된다”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