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6일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역내 국가간의 교역과 투자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일대일로 구상과 자신의 신(新)북방-남방정책은 목적이 같다면서, 양 사안을 연계해 발전시킨다면 인류공영을 이끌 수 있을 것이라도 했다.
지난 13일부터 3박4일간의 방중(訪中)일정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중국 충칭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 제3국 공동진출 산업협력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국의 신북방·신남방 정책은 역내 무역장벽을 낮추고 투자를 활성화하는 정책이다. 공동번영을 위한 경제 동반자 관계가 핵심”이라며 “이는 일대일로 구상의 5대 중점 정책 중 하나인 ‘무역창통’과 맥을 같이 한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시진핑 주석과 저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과 한국의 신북방·신남방 정책 간의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적극 발굴해나가기로 뜻을 모았다”며 양국 정책간 연계를 통한 한·중 경제협력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물은 만나고 모일수록 먼 길을 갈 수 있다. ‘지동도합(志同道合)’ 뜻이 같으면 길도 합쳐지는 법”이라며 “일대일로 구상과 신북방·신남방 정책의 연계는 양국을 비롯한 역내 평화와 공동번영을 실현하고 인류 공영을 이끄는 힘찬 물결이 되리라 믿는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중협력의 방향으로 ‘한중 및 역내 국가간의 연결성 강화’, ‘한중기업간 장점을 결합한 제3국 공동진출 적극 지원’, ‘한중을 비롯한 역내 국가간 교역과 투자협력 강화’, ‘충칭을 비롯한 중국 주요 지방정부와의 실질협력 강화’ 등 4가지를 꼽았다. 구체적으로 문 대통령은 “한국이 적극 추진 중인 한반도 종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간 연결이 중국·몽골·러시아 경제회랑과 만난다면 유라시아 대륙의 철도·항공·해상 운송망이 사통팔달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중 기업 간 장점을 결합한 제3국 공동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한국의 산업은행이 아시아 인프라 개발은행과 공동 출자해 ‘신흥아시아 펀드’를 조성한 것처럼 다자개발은행과의 협력도 강화해 양국 기업의 제3국 공동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충칭을 비롯한 중국 주요 지방 정부와의 실질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앞으로 유사한 경제 발전 전략을 갖춘 도시 간, 경제 특구 간 협력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중앙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