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의 육아휴직이 전년대비 대폭 상승하고, 여성의 육아휴직은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가정 내 육아로 인한 직장·경력 단절은 여전히 여성에게 쏠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17 일·가정양립 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는 8만9795명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자는 7616명으로 전년대비 56.3%(2744명) 증가했다. 반면, 여자는 8만 2179명으로 전년 대비 0.3%(288명) 감소했다. 여성 육아휴직 감소는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3년 이후 최초이다.
하지만 2010~2015년 5세 이하 자녀를 가진 임금근로자 가운데 육아휴직을 사용한 사람의 비율을 보면 엄마는 42.9%로 아빠(1.0%)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12개월 이하 자녀를 둔 부모로 좁혀도 2015년 기준 엄마는 43.1%, 아빠는 0.5%였다. 12개월 이하 자녀를 둔 엄마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10년 26.6%에서 20% 포인트 가까이 늘었지만, 아빠는 같은 기간 0.3% 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육아는 워킹맘의 근로시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미성년자 자녀를 키우는 맞벌이 가구에서 여성은 자녀 나이가 13~17세일 경우 주당 근로시간이 41.4시간이지만 6세 이하면 35.0시간으로 대폭 줄었다. 어린이집 등에 아이를 맡기거나 집으로 데려오기 위해, 늦게 출근하거나 일찍 퇴근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남성은 같은 조건에서의 근로시간이 46.6시간, 46.5시간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6세 이하 자녀 기준 오전 9시 출근을 가정할 때 아빠는 오후 6시 반쯤 퇴근하는 반면 엄마는 4시쯤 퇴근하는 셈이다.
육아 부담 등으로 아예 일을 관두거나 안 하는 경우도 여성에 편중돼 있다. 지난해 13~17세 자녀를 둔 여성은 고용률이 67.3%에 이르지만, 자녀의 나이가 6세 이하면 44.9%로 뚝 떨어졌다. 반면 남성은 자녀 13~17세는 95.1%, 6세 이하는 96.7%에 이른다.
아빠의 육아 책임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지만, 현실적인 개선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돕다'는 남의 일을 거들거나 힘을 보태는 일을 뜻한다. 육아는 한쪽 부부가 돕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는 것임을 인식하고 남성이 자유롭게 육아휴직을 쓸 수 있는 사회적 제도적 기반이 구축돼야 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남성의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은 조금씩 늘고 있지만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며 “여성의 육아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제도적 지원, 직장 문화 등이 확산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민다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