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017년 국토부 도시재생뉴딜사업’ 최다 선정 지역 됐다

입력 2017-12-14 21:49

경기도가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2017년 국토부 도시재생뉴딜사업’ 최다 선정 지역이 됐다.경기도는 전체 68개 대상 지역 중 12%에 해당하는 8개 지역이 사업대상지로 선정된 것이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토교통부 도시재생특별위원회을 열고 전국 68개 지역을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기존의 개발사업과 달리 물리적 재생 외에 사회적, 경제적 재생을 통해 무너진 주민공동체를 회복하고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사업이다. 정부는 매년 10조원씩 향후 5년 동안 전국에 총 50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국 500곳의 쇠퇴지역을 재생시킬 예정이다.

경기도 내 8개 지역은 우리동네살리기 2곳(고양시 원당동·안양시 박달동), 주거지 지원 2곳(안양시 명학동·광명시 광명5동), 일반 근린 1곳(고양시 화전동), 중심 시가지 3곳 (수원시 매산동·시흥시 정왕동·남양주시 금곡동) 등이다. 이들 지역에는 총 850억원에 달하는 국비가 지원된다.

경기도는 지난 10월 도시재생뉴딜 공모사업을 통해 접수된 19개시 31개 지역 가운데 9개시 16개 지역을 후보지로 선정, 국토교통부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 신청했다.

한편 지난 11월 남경필 지사는 “매년 10곳을 선정해 2021년까지 도내 45개 지역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하겠다”면서 관련 조례안과 예산 등 광역 차원의 지원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도는 2017년 8곳을 시작으로 매년 10곳을 선정해 2021년까지 45개 구도심에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지역에는 2026년까지 총 6490억의 사업비가 투자될 예정으로 경기도는 그 중 12%인 778억5000만원을 연차별로 지원하게 된다.

백원국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경기도 내 553개 읍·면·동 중 232개가 쇠퇴지역으로 분류되는 등 구도심 도시재생사업이 시급하다”면서 “내년에도 전체 사업량의 10% 이상이 경기도 지역에 선정되도록 노력해 도시재생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