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동춘동 금싸리가 땅을 놓고 인천시, 부영, 시민단체의 엇박자가 계속되고 있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14일 “인천시는 원칙대로 취소시키고, 모든 것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면서 “부영의 연기요구를 수용한다면 유정복시장은 특혜비리에 휩싸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부영은 연수구 동춘동 911번지 일원 49만9575㎡ 부지(옛 대우자동차판매 부지)에 송도 유원지 테마파크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당초 환경영향평가, 교육영향평가 등 실시계획을 위한 모든 절차를 2017년 11월까지 완료하고, 올 12월 안에 착공해 2020년에 준공하기로 한 계획은 관련법 미 이행으로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시민단체 조사결과 현재 ㈜부영주택은 ‘송도유원지 테마파크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재협의)(초안)’을 공람 중에 있다. 문제는 이런 속도라면 환경영향평가 본안 협의는 2018년 6월쯤에나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청의 교육영향평가도 이행치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부영의 송도테마파크사업 착공 시기는 당초 2015년 12월까지였으나, 이미 총 2차례에 걸쳐 연기된 바 있다. 올 연말까지가 약속기한이다. 이 때문에 여러 가지 특혜시비와 시민사회의 비판이 있어 왔다.
그런데 최근 부영은 인천시에 송도유원지테마파크조성사업 실시계획과 송도대우자동차판매㈜ 부지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을 2023년까지 연장해 달라는 내용의 변경인가를 동시에 신청했다. 사업의 인허가 조건은 송도테마파크 사업이 취소되면 도시개발사업도 같이 취소되는 것으로 연동돼 있는 것으로 파악도고 있다.
시민사회 관계자는 “우리는 지난 5월에도 부영의 테마파크 조성사업(사업비 7200억 원) 투자비 부풀리기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면서 “부영은 테마파크 부지에 매립되어 있는 총 54만4949㎥의 폐기물 처리와 이로 인한 토양오염과 지하수 오염에 대해 원상복구할 책임이 있는데도 관련법 타령만 할 뿐, 폐기물의 전량 처리와 완전한 복원에 대한 공식적인 약속을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우리는 이러한 일련의 행태를 보았을 때, 부영의 사업의지를 신뢰하기 어렵다”며 “이제 인천시는 부영의 계속된 약속불이행에 대해 강력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 더 이상의 연기는 있을 수 없다. 인천시는 원칙대로 취소시키고, 테마파크 조성사업과 도시개발사업 모두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번에도 또 다시 부영 측의 요구대로 연기를 수용한다면 유정복시장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엄청난 특혜비리에 휩싸이게 될 것이라는 경고도 덧붙였다. 인천시의 조급성 때문에 개발논리에 밀려 아파트만 짓는 상황이 올 경우 시민단체가 나서서 저지할 수 밖에 없는 논리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인천 동춘동 송도유원지 테마파크 착공 해넘기나
입력 2017-12-14 18:49 수정 2017-12-14 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