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한·중경제무역 파트너십 행사에서 중국인 경호원이 한국 수행기자를 일방적으로 폭행하는 현장 영상이 공개됐다. 기자들을 폭행한 경호원이 중국 측 공안원인지, 다른 경로로 고용된 사설 경호원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 행사장의 동선에 대한 총책임은 중국 측이 맡고 있었다.
중국을 국빈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14일 오전 한·중경제무역 파트너십 개막식에 참석했다. 격려사와 행사 시작을 알리는 타징 행사를 마친 문 대통령은 한국 기업 홍보부스를 둘러본 뒤 한·중 스타트업 부스가 마련된 맞은편 홀로 이동했다. 개막식장을 빠져나가는 문 대통령을 따라 한국 수행기자단도 함께 이동했다.
그런데 중국인 경호원들이 한국 기자들의 취재를 막으면서 마찰이 빚어졌다. 문 대통령과 한국 측 경호원만 통과시키고 한국 기자들을 제지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중국인 경호원들이 A신문기자의 멱살을 잡고 바닥에 내리꽂으며 무력을 행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기자들이 맞은편 홀 입구로 들어가려하자 갈등은 더 커졌다. B사진기자와 중국인 경호원 사이에 시비가 번졌고, 중국인 경호원들은 B사진기자를 복도로 끌고가 집단 폭행했다.
CBS 노컷뉴스가 제공한 영상에는 중국인 경호원이 B사진기자의 멱살을 잡은 채 복도 한쪽으로 끌고가 구타하는 장면이 담겼다. B사진기자를 둘러싼 중국인 경호원의 숫자는 점점 늘었고, 복도는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한국 기자들과 청와대 관계자들이 “노 터치” “스톱”이라고 외치며 중국인 경호원들을 뜯어 말렸지만 역부족이었다. 상황이 더 악화되자 한국 측 경호원을 찾는 다급한 외침도 들렸다.
소식을 듣고 현장에 달려온 윤영찬 청와대 홍보수석은 더이상 취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최소 인력만 남긴 뒤 철수시켰다. 현재 B사진기자는 1차 치료받았으나 어지럼증과 구토를 호소하고 있어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오늘 우리 측 기자가 취재과정에서 부상을 입은 불상사가 발생한 데 대해 대단히 유감으로 생각한다”며 “정부는 중국정부에 즉각 유감의 뜻을 전하고 사건 진상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해줄 것을 강력 요청했다”고 밝혔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만일 누군가 부상을 당했다면 당연히 관심(關心)을 표시한다”며 “초보적 이해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문재인 대통령 방중에 맞춰 한국 측에서 주최한 자체 행사다. 비록 한국이 주최했어도 중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큰 관심을 표명한다. 더 자세한 관련 사항은 한국 주최측에 알아보겠다. 작은 사고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