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양육은 친정 부모에게 맡기고, 생활비는 시댁에 더 준다

입력 2017-12-12 14:51 수정 2017-12-12 15:14


맞벌이부부가 자녀를 키울 때 시댁보다는 친정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친정 부모에 대한 의존은 커지고 있지만 경제적 지원 여부에서는 여전히 시댁이 친정을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7’에 따르면 맞벌이부부를 대상으로 ‘양가 부모로부터 적극적인 도구적 지원을 받았는가’(2016년 기준)라는 질문에 처가라고 답한 비율은 19%인 반면 시가라고 답한 비율은 7.9%에 그쳤다. 10년 전인 2006년(처가 17.0%, 시가 14.0%)에 비해 시가에서 도움을 받은 비율은 줄고, 처가 의존도가 커진 셈이다. 통계청은 청소, 식사준비, 장보기, 심부름 등의 집안일과 자녀 돌봐주기를 도구적 지원으로 분류했고, ‘매우 자주 해주셨다’와 ‘자주 해주셨다’고 한 응답을 적극적 지원으로 평가했다.


대상을 확대하면 친정 부모 의존도는 더욱 뚜렷해진다. 양가 부모로부터 집안일이나 자녀양육 관련 지원을 받은 경우(2016년 기준)를 조사해보니 ‘친정 부모의 적극적 지원을 받았다’(15.6%)는 응답이 ‘시댁의 적극적 지원을 받았다’(7.1%)는 응답보다 배 이상 많았다.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늘어난 가사 및 자녀양육 부담이 친정 부모에게 더 쏠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친정 부모에게 용돈이나 생활비를 지급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2016년 기준 ‘친정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드렸다’는 비율은 24.9%로 2006년(17.6%)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여전히 ‘시댁 부모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적 지원'(2006년 31.2%, 2016년 30.6%) 비율이 친정 부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 비율을 앞섰다.

집안일이나 자녀양육을 매개로 한 ‘심리적 거리’도 친정이 시댁보다 더 가까운 것으로 파악됐다. 맞벌이부부가 양가부모와 주 1회 이상 전화나 편지 등을 통해 연락하는 비율을 조사해보니 처가(76.9%)가 시가(71.8%)보다 높았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