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초·중학교 휴대전화 전면 금지 방안을 둘러싸고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정부당국은 휴대전화가 어린 학생들의 주의력을 분산시키는 등 부정적 효과가 크다는 입장이지만 학교현장에서는 일방적인 금지조치가 현실성이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1일(현지시간) 프랑스24 등 외신에 따르면 프랑스 정부는 내년 9월부터 모든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대상으로 학내 휴대전화 사용을 전면 금지할 방침이다. 학생들이 학교에 휴대전화를 가져올 수는 있지만 수업이 끝날 때까지는 쉬는시간이나 점심시간에도 사용이 금지된다. 가져온 휴대전화는 별도 보관될 예정이다.
프랑스 교육당국은 이번 조치가 휴대전화에 너무 많은 시간을 뺏기는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하고 있다. 지나친 휴대전화 사용으로 어린 학생들의 주의력이 떨어지고, 휴대전화를 활용한 집단따돌림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장 미셸 블랑케 교육부 장관은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검토한 결과 이번 금지조치가 여러 방면에서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결론지었다”며 “교사들의 학생지도나 응급상황에서는 휴대전화 사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반대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아무리 교육적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쉬는시간이나 점심시간까지 사용을 제한하는 것은 지나친 처사라는 주장이다. 학생들 대부분이 휴대전화를 갖고 있고, 부모나 친구들과 소통하는 주요 수단인 점을 감안할 때 좀 더 깊이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는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프랑스 최대 학부모단체인 핍의 제라르 포미에르 회장은 “휴대전화를 일일이 어떻게 보관하고 돌려줘야 하느냐”며 “학생들과 토론을 거쳐 휴대전화 규제방안을 정하는 게 현명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